[논술] 아프리카 노예들
■ 생각의 폭을 넓히자 - 제시문【가】노예무역이 활발해진 것은 에스파냐가 라틴아메리카를 정복한 이후였다. 에스파냐 인들은 유럽으로 사탕과 담배 등을 수출하기 위하여 대농장을 만들었고, 여기에 필요한 노동력이 모자라자 아프리카에서 흑인들을 강제로 끌고 왔다. 그리하여 17 세기에서 19 세기 사이에 약 2,000만 명의 아프리카 인들이 노예로 팔려서 아메리카로 끌려갔다."1659년, 네덜란드의 노예무역선 성 존 호(크리스트교의 성인의 이름을 붙인 것은 얼마나 희극적인가?)가 서인도 제도의 쿠라소를 향하여 떠났다. ……노예의 사망자 수를 기록하고 있는데, 6월 30일부터 10월 29일 사이에 남자 59명, 여자 47명, 미성년자 4명이 사망하였다. 그런데도 이 배가 난파했을 때, 배 안에는 아직도 95명의 노예가 남아 있었다.- 고등학교 사회/ 최병모 외 7인/ 대한교과서(주) P138【나】아프리카의 노예제도는 백인들의 노예무역 이전에도 존재했으나 신대륙에서 진행된 노예제와는 여러 면에서 차이가 있었다. 신대륙에서의 노예는 경제적 제도로서 상품으로 거래되어 노동력을 공급하는 수단일 뿐이다. 그러나 아프리카의 노예는 집단의 규모를 늘리기 위한 목적이 주였다. 따라서 출산력이 있는 여성 노예가 선호되었다.아프리카 노예는 전쟁의 포로들이거나 채무자였으며, 일부는 범죄자도 있었다. 때로 납치나 노예사냥의 희생자도 있었다. 이들의 신분은 지역에 따라 다양했는데, 극단적인 예로는 의례의 희생 제물로 바쳐지기도 했으나, 대부분 신대륙의 노예에 비해 자유롭고 높은 지위를 가지고 있었다. 노예 신분의 실질적 조건은 너무나 다양했는데, 어떤 노예들은 자유인과 같은 조건에서 생활하고 있었으며, 때로 권력자의 신임을 얻은 노예들은 다른 자유인들의 노동을 감독하기까지 했다. 사하라 남쪽 열대우림 지역의 노예는 전체 인구 중에서 비중이 훨씬 낮았는데, 이는 노예의 자식으로 출생한 사람들이 자유인이 되는 비율이 높았기 때문이다.- 세계의 풍속과 문화/ 오명석 외 9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P220-221【다】'킴벌리 프로세스'는 소위 '피의 다이아몬드'가 유통되는 것을 막기 위한 제도이다. 2000년 회의가 열린 남아프리카공화국 킴벌리의 이름을 딴 킴벌리 프로세스는 2003년 공식 발효됐다. 분쟁지역에서 노예 노동을 통해 생산된 다이아몬드가 세계 시장에서 유통되는 것을 막는 것이 협정의 핵심이다. 앙골라, 시에라리온 등 아프리카 여러 나라에서 내전이 벌어질 당시, 정치 세력들은 주민들을 노예처럼 부려 다이아몬드 원석을 채취해 이를 서구의 거대 기업들에게 팔아 무기를 사들였다. 아름다운 다이아몬드의 생산 과정에서 사람의 목숨과 노동이 철저히 착취당한 것이었다.강도는 다르지만 사람의 노동이 제값을 받지 못하고, 착취당하는 현장은 제3세계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다. 월드컵 공인구 '자블라니'는 전 세계 수제 축구공의 70%를 생산하는 파키스탄 펀자브 지방의 시알코트라는 지역에서 만들어진다. 축구공을 만들기 위해서는 오각형과 육각형의 가죽 32조각에 1620회의 바느질을 해야 한다. 12세 미만의 파키스탄 어린이들이 좁고 더러운 공장에서 하루에 14시간씩 바느질을 하고 고작 일당 2000원을 받는다.우리가 즐기며 마시는 커피에도 노동의 그늘이 숨어 있다. 커피 한잔을 만들기 위해서는 100개의 커피콩이 필요하다. 아프리카와 동남아 농부는 100개의 커피콩을 약 10원에 팔지만, 우리나라 소비자들은 그 커피를 3000∼4000원을 내고 사먹는다. 고된 노동을 하는 농부가 아니라 유통과 판매를 주무르는 기업들이 이윤의 대부분을 가져간다.콩고에는 휴대전화의 핵심 부품인 리튬 필터의 주원료로 쓰이는 콜탄이 대량으로 매장돼 있다. 전 세계 매장량의 80%이다. 콩고 군벌들은 콜탄 광산 쟁탈전을 벌여 다국적 기업들에게 경쟁적으로 싼값에 팔고 있다. 하지만 아프리카 소년이 하루 종일 콜탄 광산에서 일하고 버는 돈은 단돈 500원이다.- 디시뉴스■ 논술문 작성하기 - 생각 정리≪논제≫ 제시문【가】는 제시문 【나】와 제시문【다】의 두 제시문 중 어느 것에 더 부합하는지를 밝히고, 제시문【다】의 문제 해결 방안을 논술하시오.- 제시문【가】가 제시문 【나】와 제시문【다】의 두 제시문 중 어느 것에 더 부합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인 근거를 밝히고, 제시문【다】의 심각한 어린이 노예 노동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을 논술하시오.(900자 내외)- 논술문 보낼 곳(E-메일) : chyb01@paran.com(01은 숫자)■ 어떻게 설득할까 - 토론하기≪논제≫ 제시문 【다】의 상황을 노예라고 할 수 있는가?- 제시문 【다】의 상황을 노예라고 한다면 그 근거가 무엇인지, 예상 반론을 생각하면서 토론하시오.(600자 내외)■ 어떤 것이 출제됐나비정규직과 인턴직 등은 현대판 노예라고 할 정도로 취약한 계층이다. 물론 비정규직과 인턴직 보다 더 열악한 최하위 빈부 계층도 존재한다. 이러한 빈곤 계층의 존재는 어려 가지 사회 문제를 야기한다. 아무리 분배를 강조하는 복지 정책을 추진한다 하더라도 소외된 계층의 어려움이 상존한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는 없다. 이러한 하위 소외계층은 자신의 능력을 인정받기도 어려우며, 능력이 있다 하더라도 정상적인 대우를 받기도 어렵다. 소위 경쟁력이 있는 상위 계층들이 부를 독식하는 현상이 만연한 현대 사회의 상황에서는 더욱 그렇다. 그들은 갈수록 힘든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는 것이다.과거의 노예나 현대 사회에서 노예와 같은 생활을 하는 사람들이나 모두 존엄한 인간이다. 모두 존중받아야 할 대상인 것이다. 하위 계층을 차별하고 무시하며, 상위 계층만이 부의 독점하는 것보다는 서로 더불어 살아가는 상생의 사회적 제도와 분위기가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상호 간에 갈등과 대립, 반목과 질시, 폭력과 살인 행위 등이 언제나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우리 모두는 이러한 상황으로까지 진행되지 못하도록 사회 계층에 따른 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이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의 고민이 필요하므로, 이에 접근한 주제의 내용들이 대학의 기출 문제로 출제되고 있는 것이다.■ 무엇을 어떻게 볼 것인가 - 토론 거리≪노예의 의미≫- 농업사회의 노예는 누구였는가?- 산업사회의 노예는 누구인가?- 정보사회의 노예는 누구인가?≪노예의 처지≫- 농업사회의 노예의 처지는 어떠했는가?- 산업사회에 노예와 비슷한 사람의 처지는 어떠했는가?- 정보사회에 노예와 비슷한 사람의 처지는 어떠한가?≪노예의 역할≫- 농업사회의 노예는 어떤 역할을 하였는가?- 산업사회에 노예와 비슷한 사람들은 어떤 역할을 하였는가?- 정보사회에 노예와 비슷한 사람들은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가?■ 어떤 교과와 관련됐나- 도덕 Ⅰ. 현대 사회와 도덕 문제- 사회 Ⅵ. 시민 사회의 발전과 민주 시민- 윤리와 사상 Ⅲ. 사회사상의 흐름과 변화- 사회·문화 Ⅴ. 현대 사회와 사회 문제- 정치 Ⅳ. 국제 사회와 정치- 경제 Ⅴ.세계시장과 한국경제의 미래전망- 한국지리 Ⅶ. 지역 간 상호 의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