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단계 연구중심대학 육성사업(BK21)에 4차년도 평가에서 전북대의 2개 사업단이 최상위 평가를 받았다.
전국적으로는 70개 대학 555개 사업단 중 36곳이 중도탈락해 2학기부터 지원을 받지 못하게 됐으며, 하위사업단 120곳은 사업비가 10~30% 삭감됐다. 중도탈락 및 삭감대상 대학 및 사업단 명칭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도내 대학도 삭감대상에 일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교과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지난해 3월부터 올 2월말까지 사업수행 실적을 사업단위별·지역별·분야별로 상대평가한 2단계 연구중심대학 육성사업의 4차연도 연차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올해 탈락한 사업단은 36개, 사업비 삭감대상은 120개, 삭감 비율은 10~30%로 지난해 12월에 발표된 3차 평가때의 탈락사업단 6개, 삭감대상 112개, 삭감비율 8~12%에 비해 크게 늘었다. 엄격한 성과 관리를 위해 전년보다 평가기준을 한층 강화된 것.
전북대는 전국단위사업단(대형) 의학 분야에서 2년연속 최상위, 지역단위사업(대형) 과학기술분야(화공)에서 3년연속 최상위 평가를 받았다.
전국적으로는 서울대와 고려대가 전국단위 대형사업단에서 각각 6개 분야, 연세대와 KAIST가 각각 3개 분야 최상위 성적을 올렸으며 성균관대는 인문사회 학제간 융합분야, 고려대는 경영분야에서 4년 연속 최상위를 기록했다.
중도 탈락한 사업단의 숫자는 전년에 비해 늘었지만 전체 사업단의 연구실적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에 참여한 대학원생들의 논문 수가 총 1만5100건으로 3차연도보다 8.9% 늘었고 논문의 질적 수준을 보여주는 과학기술분야 SCI 논문 1건당 피인용지수(IF)값도 2.50에서 2.66으로 6.4% 증가했다.
인문사회 분야에서는 국제저명학술지에 등재된 논문건수가 61건에서 71건으로 16.4% 늘었다. 교수들의 논문건수(2만6천731건)는 2.8%, 과학기술분야 SCI 논문 1건당 피인용지수(2.69)는 7.2% 증가하는 등 전반적으로 연구력이 향상됐다.
사업단이 4차연도에 수주한 정부 연구개발비 및 산업체 각종 지원금은 총 1조3934억원으로 전년 대비 4.4%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