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06 18:41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사회 chevron_right 사건·사고

함께 예배 마친 아내 살해 후 차량화재 위장

새벽 예배를 마치고 온 50대 주부가 자신의 차량 안에서 불타 숨진 채 발견된 사건이 남편의 범행으로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남편은 아내를 살해한 후 차량 화재 사고로 위장하려 했던 것으로 밝혀졌다.지난 4일 오전 6시 40분께 군산시 개정면의 한 교차로 인근 농로에서 불에 탄 채 발견된 그랜져XG 승용차에서 B씨(53)가 숨진 채 발견됐다.당시 남편 A씨(55)는 부인 B씨의 부검을 반대했고 경찰조사에서 예배를 마친 후 아내가 나물(냉이)을 캐러 간다며 혼자 자신의 차를 타고 갔다고 진술했지만, 경찰은 A씨의 행동을 수상히 여겨 강력사건으로 수사를 전환했다.군산경찰은 부인 B씨의 부검 의뢰는 물론 불탄 차량 역시 국립과학수사연구소에 정밀감식을 의뢰하는 한편 사고현장인 개정면 발산 일대에 있는 모든 CCTV와 블랙박스 등 남편 A씨에 대한 동선 추적에 나섰다.경찰은 인근 정미소에 설치된 CCTV 분석 결과 사고 당일인 4일 새벽 2시 33분 남편 A씨가 사건 현장에서 600미터 떨어진 지점에 자신의 차를 주차시킨 뒤 택시를 두 차례 갈아타며 자신의 집으로 돌아간 사실을 확인했다.경찰은 국과수 부검 결과 부인의 폐에 연기가 들어가지 않은 점으로 미뤄 차량 화재 이전에 살해됐을 가능성이 있고, 차량 역시 엔진에서 발화가 시작된 게 아니라 차량 내부에서 방화가 이뤄졌을 것이라는 추정 등을 종합해 A씨를 용의자로 특정했다.곧바로 부인의 장례를 치른 뒤 경기 남양주의 한 요양병원으로 간 남편 A씨 체포에 나섰고, 핸드폰 위치 추적을 통해 병원 인근 성인PC방에서 도박을 하고 있던 그를 체포했다.A씨는 지난 13일 경찰 조사에서 범행 일체를 부인했지만 경찰이 여러 정황 증거를 내밀자 15일 내가 아내를 살해한 것이 맞다고 범행사실을 자백했지만 범행 동기나 배경, 공모자가 있는지 여부 등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이번 사건을 놓고 주변에서는 치정에 얽힌 살인, 도박자금 마련, 보험금을 노린 사건이라는 등의 소문이 꼬리를 물고 있어 사건 속내에 대한 궁금중이 높아지고 있다.군산경찰서 여상봉 수사1과장은 부인 살해를 위해 계획적으로 범행을 준비한 점 등을 종합해 A씨를 구속했으며 A씨가 부인을 살해한 동기나 과정, 속 내용 등에 대해 본격적인 세부 수사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사건·사고
  • 이강모
  • 2017.01.16 23:02

외국인 체류자 늘자 범죄도 덩달아

외국인 범죄가 꾸준히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2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박주민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범죄를 저지른 외국인은 4만374명으로 나타났다. 하루 평균 120명의 외국인이 범죄를 저지른 셈이다.외국인 범죄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우리나라에서 범죄를 저지른 외국인 수는 지난 2011년 2만6915명에서 2012년 2만4379명, 2013년 2만6663명, 2014년 3만684명, 2015년 3만8355명으로 5년 새 62.6%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전북 지역도 예외가 아니다. 전북지역에서만 2011년 375명, 2012년 416명, 2013년 465명, 2014년 484명, 2015년 512명의 외국인이 범죄를 저질렀으며 지난해는 668명의 외국인이 범죄를 저지른 것으로 나타나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경찰은 이처럼 외국인 범죄가 늘어나는 이유로 국내 체류 외국인이 많아지며 자연스럽게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했다.전북지방경찰청에 따르면 등록(국내에 90일 이상 체류) 외국인 수는 전북지역에만 2015년 2만7763명에서 지난해 2만9930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이에 경찰은 주민 수 대비 외국인 수가 2%를 넘거나(완주김제), 3500명 이상 외국인이 거주하는 지역(군산익산)을 외국인 밀집지역으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도내 외국인 밀집지역에 집중 형사활동과 자율 방범활동, 외국인 치안봉사대 등을 활용해 범죄를 예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사건·사고
  • 천경석
  • 2017.01.13 23:02

NGO 출신 공직자, 모범 커녕 '탈선·비행'

현직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는 물론 시민사회단체에서 활동하다 공직으로 자리를 옮긴 인사들의 잇단 탈선과 비행이 이어지면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시민들을 대표하고 대신해 사회를 감시하고 견제하며 바른 사회를 만드는데 앞장서야 할 전현직 시민사회단체 간부들의 도덕성 해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전주 완산경찰서는 지난달 중순 20대 여성을 모텔로 데려가 성폭행한 혐의(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로 전북도 사무관급 팀장 A씨(49남)를 불구속 입건한 것으로 지난 30일 확인됐다.경찰에 따르면 A씨는 지난 12월 10일 오전 1시께 전주시 완산구 서신동의 한 모텔에서 여대생 B씨(23)와 강제로 성관계를 맺은 혐의를 받고 있다. B씨가 A씨를 성폭행 혐의로 고소하며 사건이 드러났는데 A씨는 경찰 조사에서 합의로 한 성관계라며 혐의를 전면 부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전북도는 지난 20일 이런 내용을 경찰로부터 통보받아 A씨를 직위해제하고 대기발령 조치했다.A씨는 도내 한 시민사회단체에서 간부로 근무하다 지난 2015년 9월 전북도에 신설된 인권부서에 5급 사무관으로 임용됐다.지난 28일에는 도내 시민사회단체 간부로 활동하다 역시 전북도 사무관급 공무원으로 임용된 C씨(48)가 면허정지(0.05% 이상) 대상인 혈중알코올농도 0.068%의 음주상태로 운전하다 전주시 완산구 서서학동 한 초등학교 앞에서 경찰에 적발됐다.이에 앞서 지난 9월 26일 오후 11시 47분께 전주시내 한 버스정류장에서는 의자에서 잠을 자고 있던 시민사회단체 간부 D씨(50)가 자신을 깨우러 출동한 경찰관에게 욕을 하고 정강이를 걷어차는 등 폭행한 혐의(공무집행방해)로 기소됐으며, 전주지법은 지난 12월 22일 D씨에 대해 징역 6월에 집행유예 1년을 선고하고 60시간의 사회봉사 명령을 내렸다.이처럼 지난 한 해 동안 도내 시민사회단체 전현직 간부 출신들의 사건사고가 잇달아 발생한데 대해 지역사회 일각에서는 일반 시민들에게 모범이 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더욱 높은 도덕과 윤리를 갖춰야 할 시민운동가 출신들의 이런 행태는 비판받아 마땅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백종만 전북참여자치시민연대 공동대표는 공무원과 시민사회단체는 모두 공공성과 도덕성이 높아야 하는 자리인데 이같은 사건들이 불거져 안타깝다며 이러한 문제들은 시민사회단체의 불신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시민사회단체들도 이번 사건들을 자성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 사건·사고
  • 천경석
  • 2017.01.02 23:02

송하진 지사 지시 무색케 한 道 사무관급 공무원 음주운전

전북도청 공무원들의 음주운전이 끊이지 않으면서 공직자들의 나사 풀린 준법 의식에 대한 비판이 일고 있다.특히 잇단 음주운전 적발에 대한 경각심은 커녕 최근 송하진 도지사의 연말 음주운전 근절 지시도 무색케 하는 공직기강 해이 행태가 이어지고 있다.29일 전주 완산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28일 오후 10시 30분께 전주시 서서학동 한 초등학교 앞 도로에서 전북도 사무관급 공무원 A씨(48)가 음주운전을 하다 경찰 단속에 적발됐다.당시 A씨의 혈중알코올농도는 0.068%로 면허정지(0.05% 이상)에 해당하는 수치였다. 이날 A씨는 지인들과 술자리를 가진 뒤 운전대를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경찰은 A씨에 대해 면허정지 100일 처분을 내리고 도로교통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 입건했다.앞서 지난 10월 7일 오후 9시 50분께 전주시 중화산동 인근 도로에서 전북도청 서기관 B씨가 음주운전을 한 채 앞서가던 차량을 들이받았다. 당시 B씨의 혈중알코올농도는 0.176%로 면허 취소(0.1% 이상)에 해당하는 상태였다.또 지난 6월 22일 전주시 송천동의 한 교차로에서도 전북도청 서기관 C씨가 혈중알코올농도 0.190% 상태에서 음주운전을 하다 적발되기도 했다.한편, 송하진 도지사는 지난 26일 간부회의에서 연말연시를 맞아 음주운전 등 공직자들의 비위 행위가 염려된다며 공직기강 확립에 힘써야 한다고 당부했다.최명국, 남승현 기자

  • 사건·사고
  • 전북일보
  • 2016.12.30 23:02

중국인 내연녀 폭행·협박 의혹 男경찰관, 내연녀 수배 알려주고 도피까지 도와

내연 관계인 중국인 유학생을 폭행, 협박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경찰관이 해당 내연녀에게 수배 중인 사실을 알려줘 도피를 도운 정황이 드러나 물의를 빚고 있다.전북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대장 김효진)는 25일 수배자 신분인 내연녀의 도피를 도와 준 혐의로 전북경찰청 소속 A경사(39남)를 불구속 입건했다.A 경사에게 적용된 혐의는 범인은닉과 직무 유기, 형사사법절차 전자화 촉진법 위반, 형의 실효 등에 관한 법률 위반, 폭행 등 총 5개이다.경찰은 A 경사에 대해 영장을 신청했지만 전주지법 영장전담부는 지난 23일 도주 및 증거인멸의 우려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며 영장을 기각했다경찰에 따르면 A 경사는 올해 6월과 9월 내연 관계인 B씨(22)를 2차례 폭행하거나 협박하는가 하면, 앞선 지난 2014년 11월께 범죄 조회를 통해 보이스피싱 범죄에 연루된 B씨의 도피를 도운 혐의를 받고 있다. 조사결과 A 경사는 자신 명의의 통장을 보이스피싱 범죄조직에 넘겨줘 공범으로 수배 중인 B씨의 신상을 범죄정보조회시스템을 이용해 조회한 뒤 이를 알려준 것으로 드러났다.A 경사는 지난 2013년 10월 전북경찰청 외사수사대 재직 당시 중국에서 도내 한 대학으로 유학온 B씨의 사기 피해 사건을 담당했고 이후 이들은 내연 관계로 발전했다.

  • 사건·사고
  • 남승현
  • 2016.12.26 23:02
사회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