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의원 선거구 획정에 따른 도의회의 표류로 내년 지방선거 입지자들이 갈팡질팡하는 가운데 임실군의회가 전북도에 광역선거구 조정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일부 의원들은 광역선거구의 부당성을 주장하며 반발하고 있으나 대다수의 의원들이 합의, 관철될 전망이 높은 것으로 보여진다.
임실군의회는 7일 간담회를 개최하고 전북도의 임실지역 기초의원 선거구 획정에 따른 대안 요청에 모두 2개안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내용은 현재 7명으로 내정된 의원정수에 1명을 추가, 8명으로 할 경우 임실군 기초의원 선거구를 4개의 소선거구로 분리해 2명씩 선출한다는 안이다.
이럴 경우 임실군은 임실읍과 성수면이 1개의 선거구로, 관촌과 신평·신덕·운암면 등 2개 선거구에서 각각 2명씩 4명의 기초의원을 선출하게 된다.
또 오수와 지사, 삼계면이 1개 선거구로 조정되고 청웅과 강진, 덕치면이 묶어지는 등 4명을 선출하게 된다.
반면 의원정수 조정안이 불가할 경우에는 임실읍 등 제 1광역선거구를 묶어 4명을 선출하고 오수면 등 제 2광역선거구는 3명을 선출한다는 내용이다.
군의회의 이같은 구상안이 확정되면서 임실군의 행정도 이에 동조할 것으로 예상된 가운데 전북도의 조례 제정과 도의회의 승인절차가 주목된다.
하지만 정계나 관계는 타 자치단체가 임실군에 기초의원 1석을 양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견해로 사실상 광역선거구 획정안이 유력시 되고 있다.
이와 관련 유권자가 적은 소속 의원들은‘단순히 인구논리로 선거구를 정하는 것은 폐쇄적이고 근시안적 착상’이라며 크게 반발하고 있다.
한편 임실군의회의 이번 결정으로 2006지방선거 기초의원에 도전하려는 지역별 입지자들의 얼굴에는 명암이 엇갈리고 있다.
그동안 소선거구를 목표로 활동해 왔던 입지자들은 크게 실망하고 있는 반면 광역을 무대로 활동한 입지자는 제 때를 만났다는 기색이다.
이와 함께 광역선거구로 확정될 경우 임실지역에서는 유력정당의 공천이 곧 당선이라는 인식과 함께 입지자간의 경쟁가도에 불을 뿜는 열전이 예상된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