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표 기자
학교측의 요청을 뿌리치지 못해 2년동안 학교운영위원으로 활동했던 한 학부모는 “현재의 학운위는 민주적 학교운영이라는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다”고 단언했다. 당연직인 교장외에 교감까지 참여하고 개인적 목적을 가진 위원들이 있는 한, 일방적인 학교행정을 견제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도내 일선 초·중·고교가 지난달말까지 학교운영위원 선거를 모두 마쳤다. 올 선거에서는 전체 운영위원(7410명)의 85.7%에 이르는 6355명이 새로 선출됐다. 그러나 이번 학운위원 선거에서는 오는 7월말로 예정된 도교육위원 선거와 맞물려 입지자들의 자기사람 심기 의혹이 불거졌다. 실제 일부 학교에서는 과열선거에 따른 잡음도 나왔다.
학교장 개인의 독선을 차단, 학교행정의 민주성 확보 역할을 맡은 운영위원들이 도교육위원과 교육감 선거의 투표권을 배타적으로 행사하면서 순수성을 의심받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교육위원·교육감 선거권을 전체 학부모나 공직선거 유권자로 확대, 학운위원이 순수하게 학교 자치에만 참여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는 이유다. 진정한 교육자치를 이뤄내기 위해서는 그 기본이 되는 학교자치가 보장돼야 하고 그 역할은 학교운영위원들의 몫이다. 그러나 도교육위원 선거를 눈앞에 둔 만큼, 새롭게 구성된 학운위에 대해 그 순수성을 의심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 이같은 의혹을 불식시키기 위해서도 학교 운영의 합리성과 투명성을 확보해 내려는 학운위원들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순수한 열정으로 자녀가 다니는 학교 운영에 참여하려는 학부모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실천이 필요하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