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결정된 곳 부지까지 매입...일부 현위치 주장
군민 공청회의 결정에 따라 토지매입과 청사 설계, 입찰공고까지 완료했던 임실군 청사 신축 부지를 재검토키로 해 행정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고 막대한 예산 손실이 우려되고 있다. 임실읍 이도리 임실고교 부근으로 청사 후보지가 확정되기 까지 임실군은 3년여에 걸친 검토와 수십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했고, 군민공청회를 거쳐 확정됐었다.
그럼에도 임실군은 오는 16일 임실군민회관에서 관내 군민을 대상으로 군청사 신축 부지에 대한 주민토론회를 실시키로 했다.
이같은 결정은 일부 주민들이 임실읍의 공동화 현상을 주장하며 김진억 군수와 행정을 강하게 압박, 현 위치를 고수하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임실군은 지난 96년 9월, 60년대에 지어진 군청사의 노후화와 협소를 이유로 신규부지 이전에 대한 주민공청회를 마친 바 있다.
임실읍사무소 회의실에서 열린 당시 공청회에는 12개 읍·면에서 200여명의 주민들이 참여한 가운데 4개의 후보지를 두고 현재의 이전부지로 결정됐다.
군은 이와 함께 98년부터 13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토지매입에 착수, 불응 토지주에는 강제수용을 거치면서 지난 2001년에야 끝마쳤다.
군의회의 승인과 함께 도시계획 인가까지 마친 신청사는 2001년 입찰공고를 게시하면서 완료된 듯 했다.
그러나 당시 보궐선거에 당선된 전임 단체장이 뚜렷한 이유도 없이 돌연 공고를 취소, 현재에 이른 것.
군청사 신축의 필요성은 13개 실·과중 3개과 만이 본관에 들어섰고 나머지 10개과는 별관이나 가건물에서 업무를 벌이고 있어 시급한 현안 문제.
전문가에 따르면, “현 위치에 청사 신축시 철거와 폐기물 처리, 관리비 등의 투입예산만 35억원 정도가 낭비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전산장비의 이동은 불가능에 가까울 정도로 복잡하며 2년여에 걸친 임시사무소 이용도 비용과 업무처리에서 비효율적 임을 강조했다.
이와 관련 주민들은 “과거에 결정된 부지의 활용이 타당하다”며 “임실군의 균형발전을 위해서도 옮기는 것이 군민의 뜻”이라고 입을 모았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