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이치백의 一日五話] 1968년 서울 옛 중앙청 앞 광화문 복원 준공

1918년 '수용소 군도' 노벨상 솔제니친 출생

◆ 12월 11일

 

① 처음엔 사정문으로 불려

 

3·1운동 후, 일제에 의해 헐렸던 서울의 옛 중앙청 앞 광화문이 1968년 오늘, 복원준공을 보았다. 광화문은 경복궁의 남쪽 정문으로 조선 태조 때 정도전에 의해 사정문(四正門)으로 명명됐지만 1425년 광화문이라고 바꾸었다. 임진란 때 소실됐으나 1864년 경복궁과 함께 재건됐었다.

 

② 개화파 일행 일본 망명

 

‘3일천하’로 끝난 갑신정변의 주역 개화당 요인들은 가까스로 서울을 탈출, 1884년 오늘, 인천에서 일본망명길을 떠났다. 이때 일행은 이름을 다음과 같이 일본식으로 바꿨다.

 

·김옥균(岩田周作) ·박영효(山崎永春) ·유혁로(山田唯一) ·신응희(平山廣文) ·정란교(中原平吉).

 

③ 유보경 지부장 대구로 이감

 

1919년 3·1운동 후 김마리아의 주동으로 대한부인회가 조직됐는데 전북지부장은 기전여고 유보경(柳寶敬) 교사였다. 그런데 이 조직이 군산 멜본딘 여고의 모 교사가 왜경의 고문에 못 이겨 발설한 것이 발단이 되어 와해됐다. 1919년 오늘 유보경은 전주에서 대구감옥으로 이감됐다.

 

④ 에드워드 8세 대민방송

 

왕관을 버리고 사랑을 택한 영국의 에드워드 8세. 그는 1936년 오늘 라디오를 통해 “나는 사랑하는 여자의 도움 없이는 제대로 왕의 중책을 수행할 수 없음을 알았다”면서 결국 왕위를 버리고 이혼경력이 있는 심프슨 부인과 결혼을 감행했다. 사랑의 힘이란 이토록 강한 것인가.

 

⑤ 소련 작가 솔제니친 탄생

 

구소련의 스탈린 시대의 수용소를 무대로 한 ‘수용소 군도’로 국제적 반응을 일으켜 노벨상을 받은 솔제니친. 그는 이 작품이 국외로 번역되어 나가자 국외로 추방됐다. 독소전쟁 땐 포병장교였는데 사상문제로 8년간 수용소 생활을 하다가 유형도. 1918년 오늘 출생.

 

전북일보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이춘석 빈 자리’ 민주당 익산갑 지역위원장 5파전

경제일반전북 농수축산물 신토불이 대잔치 개막… 도농 상생 한마당

완주‘10만490명’ 완주군, 정읍시 인구 바싹 추격

익산정헌율 익산시장 “시민의 행복이 도시의 미래”

사건·사고익산 초등학교서 식중독 의심 환자 18명 발생⋯역학 조사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