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5억 확보 하반기 시행...벼농사·밭작물·축산까지 확대를
고창군이 농업인들의 영농비용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올해부터 추진하는 농기계 대여사업이 일부 과수분야에만 한정돼 실효성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대다수 농민들은 정부가 앞장서 과수원 폐원을 유도, 해마다 재배면적이 줄어들고 있는 과수분야보다는 벼농사와 밭작물 등 타분야로 사업을 확대해 본래의 취지를 살려야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고창군은 올해 농기계 대여사업 예산으로 국비 2억5천만원과 군비 2억5천만원 등 모두 5억원을 확보, 이르면 하반기부터 사업을 시행한다고 5일 밝혔다. 군에 따르면 이 예산은 FTA관련 사업으로 확보한 것으로 과수분야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농기계 대여사업에 활용된다.
하지만 고창군내 과수농가는 점점 줄어들고 있어 사업의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군내 과수농가는 지난해 말 현재 배 114농가 162.51ha와 단감 72농가 41.1ha, 사과 29농가 42.3ha 등 모두 339농가 314.16ha에 불과해 전체 농업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많지 않은 편이다. 이는 2005년 같은 기간의 과수농가 4백33호 393ha보다 현저하게 줄어든 수치. FTA 확대에 따라 과수원 폐원 정책을 펴온 결과다.
따라서 대다수 지역 농가에서는 과수 뿐아니라 벼농사와 수도작, 축산 등 농기계 임대사업 분야를 다양화하는 등 농촌 현실에 맞게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농기계도 과수 관련 제품 뿐아니라 트랙터와 이앙기, 콤바인, 땅속작물수확기, 두둑형성기, 동력배토기 등 가격이 최고 수천만원에 달하거나 농가가 1년에 3∼4일 정도만 사용하기 때문에 농민들이 구입하기 어려운 것을 중심으로 구매해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게 농민들의 지적이다.
심원면 박동석씨는 “쌀값 하락은 물론 인건비, 농약값 등 생산비 부담이 크다”면서 “농기계 임대사업을 확대 시행한다면 생산비 절감은 물론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민들에게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