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길(수필가·전주상의기획 진흥실장)
하나 둘 사라져가는 우리토종 농산물의 미래와 자식들의 먹을거리를 걱정 하시던 아버지의 주름진 얼굴이 불현듯 떠오릅니다. 비록 도시에 살지만 큰아들 마음속엔 아버지께서 가르쳐 주신 신토불이 정신의 농심이 똬리를 틀고 있답니다.
아버지는 항상 저희 육남매에게 재래종 밤송이를 사람에 비유했지요. 설익어서 벌어진 밤송이는 잘난 척하는 사람, 잘 익은 밤송이는 실속 있는 사람, 쭈글쭈글한 밤송이는 실속 없는 사람과 같다고 했지요. 또 밤송이에 알밤이 세 톨 들어있으면 우애 있는 3형제, 두 톨은 다정한 오누이, 한 톨은 버릇없는 외아들 같다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쪽 밤은 동생들과 사이좋게 나누어 먹어야 쪽니가 나지 않는다고 하셨습니다. 곰곰이 생각해보니 우리 육 남매의 우애를 암시하는 교훈이었습니다.
그런데 요즘 고향은 나날이 피폐해지고 수입농산물 때문에 삶의 의욕을 잃은 농민들이 정든 고향을 등지거나, 농사지어야 타산이 맞지 않는다는 하소연을 들을 때마다 가위눌린 듯 가슴이 답답해져 옵니다.
타임머신을 타고 우리 토종농산물이 풍부하고 아버지 얼굴에 주름살이 없는 유년시절의 고향으로 되돌아가고 싶습니다.
/김정길(수필가·전주상의기획 진흥실장)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