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일보·참여자치시민연대 주최 시민경제아카데미 강좌
“기업은 이윤창출을 목표로 하고 흑자를 못 내는 사업가는 자질이 없는 것입니다. 그러나 기업과 사업가가 이윤창출만을 목표로 한다면 그 기업은 오래 가지 못할 것입니다.”
전북일보와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가 함께하는 제2기 시민경제아카데미가 열린 1일 오전 전북대 평생교육원.
80여명의 시민이 모인 가운데 이날 강사로 나선 유창희 전주교차로 대표이사(도의원)는 “기업의 이익보다는 시민의 이익을 생각하고 지역의 고용을 창출하는 기업만이 오래도록 이윤을 창출하며 생명력을 이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 대표이사는 “기업은 인간적 네트워크를 굳게 다지고 장기적 관점에서 사업을 바라봐야 한다”며 “또 용서하고 화해하는 마음을 가질 때 성공의 문이 열린다”고 설명했다.
현재 전주교차로는 60명의 정규직 사원이 근무하고 있고 타블로이드판 120면 생활정보지를 내고 있다. 한 때 부수와 직원을 줄여야 한다는 주위의 권유도 많았지만 “생활정보지는 최대한 많은 시민에게 정보를 제공할 때 생명력을 가지고, 기업의 이익은 사람이 창출한다”는 원칙으로 이를 뿌리쳤다고 한다.
이 같은 원칙 외에 유 대표이사는 고리사채와 일수 광고, 유흥업소 여종업원 구함 광고는 절대 싣지 않는다는 소신을 갖고 있다고 한다.
유 대표이사는 “눈앞의 이익에 쏠려 지역 주민의 건전한 삶을 위협할 수 있는 일을 하는 것은 지역과 함께 성장하려는 기업과 사업가의 자세가 아니다”고 못 박았다.
유 대표이사는 예전에 한 남성이 ‘배우자 구함’이라는 광고를 냈다가 빗발치는 예비 배우자의 전화에 곤욕을 치르고 끝내 앞으로 배우자를 구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정정 광고를 냈었다는 전주교차로의 전설같은 일화를 소개하기도 했다.
“이름 난 기업보다 덜 알려져 있지만 전주시민이 방을 구하고, 일을 구하고, 함께 일할 종업원을 구할 때는 우리 같은 생활정보지가 도움이 되며 시민과 함께 성장해 왔고 앞으로도 지역과 함께 발전해 갈 것입니다.”
시민과 함께 하겠다는 의지가 없었다면 연매출 40억원에 이르는 전주교차로는 없었을 것이라는 유 대표이사의 설명이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