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토착비리 근절을 위한 MB정부의 사정바람이 진안 공직사회에 거세게 불어닥치고 있다.
이달부터 집중 감찰에 들어간 행정안전부와 별도로, 사법당국에서도 권력형 토착비리 척결을 위해 날선 칼을 빼들면서 녹봉을 먹는 지역 공직자들이 너나할 것없이 좌불안석이다.
특히 이번 사정은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번 8.15경축사에서 지역 토착세력과 유착된 각종 비리를 뿌리뽑겠다고 공언한 이후 점화된 것이어서 한번 빠지면 헤어나올 수 없는 '블랙홀'에 그 긴장감은 더욱 고조되고 있다.
진안경찰에 따르면 정부의 강력한 반부패 의지 천명과 국민이 체감하는 부패수준이 개선되지 않아 선진인류국가로의 진입을 방해하는 각종 권력형 토착비리를 근절하는 수사지침이 지방청으로부터 하달됐다.
이에 따라 지난 8월 20일부터 12월 말까지를 '공직부정 권력형 토착비리' 특별단속 기간으로 정한 진안서는 본격 수사에 앞서 수사·형사·정보·지구대 파트 모든 경찰관을 통해 범죄 첩보를 수집토록 지시했다.
이번 수사는 복지관련 보조금 횡령, 공금 횡령, 재해보상금 등 허위지급 및 횡령건과 아울러 지역유지나 토착세력의 인사 청탁 또는 금품수수, 인사특혜 등 고질적인 지역 토착비리에 초점이 맞춰졌다.
수사 초기인 현재까지는 이렇다할 큰 첩보는 접수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지나, 일반 비리 근절과 다른 상징성이 부여된 수사라는 특징에 비춰 어떤 행태로든 그 결과물을 내 놓을 수 밖에 없다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수사 대상 또한 진안군청과 유관기관 등 지역 공직사회의 지위고하를 막론함은 물론, 지방의원들까지 수사대상에 올라, 사정의 칼날이 과연 어디로 향할 지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다만, 실적을 무시할 수 없는 경찰 특성상 실질적인 성과와는 다소 무관한 선출직 등 조합관계자들은 수사선상에만 오른 채 사정은 칼날은 비켜갈 것이란 얘기도 전해진다.
예사롭지 않은 이 같은 사정바람에다, 추석을 앞둔 행안부의 집중 감찰, 그리고 진안군이 자체 추진하는 공직자 부조리 신고 보상금제 등 전 방위적인 공직기강 확립방침에 지역 공직사회는 냉기류에 휩싸여 있다.
한 공직자는 "죄를 지은 것도 없는데 왜 이리 불안한 지 모르겠다.그래서인지 사람 만나는 자체도 무서울 뿐더러 운신의 폭도 좁아졌다.그렇다고 잡히지 않는 일손을 놓을 수도 없고…."라며 작금의 현실(심정)을 토로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