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직파삼 언제 발아되나…농민들 '답답'

동절기 냉해 등 원인 추측 뿐…진안 농가 큰 손실 우려

진안지역 일부 인삼밭에서 지난해 가을 식재한 1년근 직파삼이 현재까지 발아 되지 않아 농가들의 상심이 크다.

 

특히 인삼재배는 초기 자본이 80% 가까이 차지하고 있는 만큼 인삼재배를 할 수 없게 될 경우 농가들의 경제적 손실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같은 현실은 진안군의회 이부용 의원이 "1년근 직파 인삼의 발아가 되지 않는다"는 주민들의 이야기를 듣고 직접 현장 방문을 하면서 밝혀졌다.

 

이 의원은 "가장 큰 피해를 보고 있는 지역은 백운면으로 14ha 가까이 되는 것으로 알고 있으며, 주천면에도 인삼농가들의 피해가 보고 됐다"고 전했다.

 

현재 군은 가장 피해가 큰 백운면에 대해 조사했으며, 관내 다른 지역도 조사가 진행 중이다.

 

백운면의 경우 11농가의 3만6002㎡ 인삼밭에서 직파삼 발아율이 30%에 그쳤으며, 12농가 4만1512㎡가 50%, 6농가 3만8895㎡가 70% 발아된 상황이다.

 

발아율이 50%를 넘는 농가에서는 추후 발아 상태를 시켜보고 있는 상황이지만, 50% 미만인 농가는 인삼포를 철거하고 있다. 현재 7농가 2만4329㎡는 영농을 포기하고 시설을 철거한 상태다.

 

더욱 문제는 이같은 피해에 대한 정확한 원인이 현재까지 밝혀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그 원인에 대해 농가들은 동절기 혹한으로 인해 씨앗이 냉해를 입어 발아가 되지 않은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반면, 전문가들은 "씨에 문제가 있어 발아가 되지 않은 것 아니냐"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농업기술원 특화작목연구소 김동원 박사는 "농촌진흥청과 원인을 찾고 있는데, '개갑(껍질이 벌어지는 과정)이 덜 된 것이 큰 이유로 보인다'는 소견을 들었다"면서 "개갑처리를 위해서는 섭씨 25도 이하로 되어야 하는데 지난해 여름 온도가 높아 개갑이 덜 된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또한 '겨울 혹한기에 서릿발이 서면서 얼었던 표면과 땅의 종자가 묻혀 있던 부분에 층이 생겨 봄철 수분부족으로 발아가 되지 않을 수 있다'는 의견도 제시됐다"면서 "현재 이러한 현상은 진안뿐 아니라 전국적으로 발생되고 있다"고 곁들였다.

 

한편 이번 사태와 관련, 진안군과 농업기술원 특화작목연구소, 농진청은 다음주께 공동조사를 실시해 원인을 규명한다는 계획이다.

 

이재문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전주‘전주 실외 인라인롤러경기장’ 시설 개선…60억 투입

영화·연극제27회 전주국제영화제 한국영화 출품 공모 시작

김제김제시 종자산업 혁신클러스터 조성 ‘파란불’

금융·증권미 증시 덮친 'AI 거품' 공포…한국·일본 증시에도 옮겨붙어

문화일반세대와 기록이 잇는 마을…부안 상서면 ‘우덕문화축제’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