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안 위도면서 띠뱃놀이 원형보존 공개행사 열려
위도 앞 바다에서 잡은 조기를 진상했던 170년 전부터 전해 내려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띠뱃놀이는 정월 초하루부터 초사흘까지 제를 올리고 작은 어선(띠배)을 띄우는 전통민속행사이다.
이날 띠뱃놀이 행사는 이른 아침 대리마을 풍물패의 오방진굿, 풍년굿으로 띠뱃굿의 시작을 알렸다. 이어 동편당산제를 올리고 당젯봉 정상의 원당(소원을 비는 곳)에 올라 제물을 진설했다. 원당에서 굿과 제사를 지낸 뒤 띠배 전시·전수관과 마을을 한 바퀴 돌고 바다가 보이는 마을 앞 부두에 도착했다.
이후 마을의 중심이 되는 주산을 중심으로 동편 용왕밥 던지기, 동편 당산제, 북편 주산 신령제, 서편 당산제, 서편 용왕밥 던지기, 우물굿 등을 하며 주산돌기를 마친 뒤 마을 앞 부두에 도착, 용왕굿을 하며 신명난 한판을 벌였다.
용왕굿을 마친 뒤 띠배는 모선과 연결된 채 서해 먼 바다로 향했다. 모선에 앞소리꾼과 풍물패들이 승선해 술배노래 등 소리로 용왕을 향한 물길을 열었다.
모선이 바다 가운데에서 띠배를 떼어 놓고 돌아오면서 띠뱃놀이의 모든 행사를 마무리했다.
띠뱃놀이 공식 행사를 마친 주민들은 단합과 화합을 다지며 여흥을 풀기도 했다.
장영수 위도 띠뱃놀이 보존회장은 "위도 띠뱃놀이는 액을 띠배에 띄워 멀리 보내고 마을의 평안과 풍어를 기원하는 우리 민족의 얼과 혼이 함께하는 전통문화행사"라고 말했다.
한편 위도 띠뱃놀이는 지난 1978년 강원도 춘천에서 열린 제19회 전국민속 예술경연대회에 대리마을 당제의 한 과정인 '띠배보내기'로 출전해 최고상인 대통령상을 수상했으며 1985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됐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