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무산 후폭풍…市, 지·간선제 추진 큰 차질
전주시와 완주군의 행정구역 통합이 무산된 것과 관련, 통합 무산의 후폭풍이 전주지역 대중교통체계 개편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주시가 당초 전주·완주 통합을 전제로 추진하려던 시내버스 지·간선제 도입이 큰 차질을 빚을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전주시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시내버스 노선개편과 지·간선제를 도입한다는 계획을 잠정유보한 뒤 '전주·완주 통합이 성사된 이후 지·간선제를 도입한다'는 청사진을 내놓았었다. 하지만 양 지역 통합이 무산되면서 지·간선제 도입을 주된 골자로 한 대중교통 계획을 추진하는데 막대한 차질을 빚게 된 것.
지·간선제는 시내 주요 구간을 오가는 간선 시내버스에서 마을버스와 같은 지선버스로 갈아타는 환승제를 말한다. 이 제도는 완주군이 전주시를 둘러싸고 있는 지역적 특성상 '반드시 도입해야 하는 핵심 교통대책'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하지만 "이 제도가 도입되면 전체 인구의 25%가 노령층이고 버스이용객의 약 90%가 교통약자인 군민들이 불편을 겪어야 한다"는 완주군의 반대에 부딪혀 벌써 수년째 제도도입에 별다른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 양 지역 통합이 무산되면서 지·간선제 도입은 더욱 요원해졌으며, 이로 인해 전주시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더욱이 내년 3월 전북혁신도시 주민입주가 본격화되면서 대중교통체계 개편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지·간선제 도입여부가 전주시의 당면현안과제로 급부상하고 있다.
이는 내년 3월부터 전북혁신도시에 3만명의 주민들이 상주할 것으로 예상되고, 이로 인해 전북혁신도시에 50대 가량의 시내버스를 투입해야 한다는 점에서 전주지역 대중교통체계는 큰 폭의 변화가 절실하기 때문이다.
전주시 관계자는 "내년 3월 전까지는 어떤식으로든 대중교통체계 개편작업을 마무리해야 한다"면서 "지·간선제 도입을 강행할지, 기존의 시내버스 노선을 손질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지·간선제의 경우 지난 2004년 한달간 시행됐다 완주군의 반대로 무산된 바 있다"면서 "과연 완주군의 반대를 무릅쓰고 지·간선제 추진을 강행한다면 어떤 득실이 있을지 고민을 거듭하고 있다"고 밝혔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