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혜숙 "전주 한옥마을 브랜드 차별화 서둘러야" / 국주영은 "주민참여예산제 활성화 자치역량 강화" / 서윤근 "통합 무산 책임, 진정성 있는 사과해야" / 김명지 "농어촌 LPG 소형탱크 보급사업 홍보를"
△박혜숙 의원(송천1)= 박 의원은 이날 "전주 한옥마을 브랜드화를 서둘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전주 한옥마을은 전통과 현대의 어울림의 미학으로 슬로시티 전주의 도시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중추적인 공간으로 자리매김했다"면서 "이제 전주시는 한옥마을을 통해 성공적인 도시 브랜드로 도약해야 할 매우 중요한 시기이며, 한옥이라는 브랜드를 타 지역의 한옥마을과 비교해 특성화되고, 차별화된 도시브랜드로 발전시켜나가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전통적 역사성의 가치를 지닌 전주한옥마을은 최근 명실상부한 전국 최고 명품 브랜드이자, 그 가치가 발현되고 있는 최고의 아이템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지만 결코 안주해서는 안 될 것"이라면서 "한옥마을의 전략적 브랜드화를 위해 '한옥마을 BI'(Brand Identity)와 '한옥마을 엠블렘' 등을 연구 개발해야 한다"고 밝혔다.
△국주영은 의원(팔복·조촌·동산·송천2)= 국주 의원은 "주민참여예산제 활성화를 통해 지역공동체가 형성되고 시민들의 자치역량이 강화되고, 이를 통해 참여민주주의를 강화해야 한다"면서 "주민참여예산제에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도록 후속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시행 3년째를 맞은 전주시의 주민참여예산제를 들여다 보면 주민참여라고 볼 수 없을 정도로 열악하다"면서 "올해부터 공무원 위탁교육훈련, 영어캠프운영, 단독주택 도시가스, 동물원 이벤트 벚꽃놀이 야간개장, 전주영화종합촬영소 운영 등 14개 사업에 97억5200만원이 편성됐지만 이미 기존에 계속 해왔던 사업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서윤근 의원(인후3·인후1·2)= 서 의원은 "전주시와 완주군의 통합시도가 무산된 지 벌써 한 달여가 지났고, 뜨겁게 끓어올랐던 찬반대립의 열기도 이제 차분히 가라앉는 모양새"라면서 "전주·완주 통합 추진과정에서 권한을 통해 결정되고 집행됐던 사업들과 관련해 책임을 분명히 하는 것에서부터 새로운 전주를 향한 새로운 출발의 동력이 형성될 수 있다"고 제기했다.
서 의원은 "관이 주도하는 통합추진과정에서 법을 위반한 행정 행위로 25억6600만원이라는 예산이 공중 분해됐다"면서 "이는 상생발전의 진정성 확보라는 미명하에 법이 부여하지 않은 권한을 남용하고 부도어음을 남발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서 의원은 "통합의 무산이 누구의 책임이냐를 따지는 건 옳지 않으며, 민주적 자기결정권을 행사한 완주군민들에게 손가락질을 하는 것도 주권재민이라는 민주주의의 기본이념에 대한 몰이해에서 나오는 행동"이라면서 "정작 통합을 원하고 그에 따른 행정권한을 행사했던 전주시의 수장이 시민들에게 밝혀야 하는 것은 통합실패에 대한 송구스러움 보다는, 통합이라는 결과를 이끌어내기 위해 무리하게 행정권력을 발동했던 그 결과에 대한 책임"이라고 쓴소리를 냈다.
△김명지 의원(인후3·인후1·2)= 김 의원은 "농어촌 LPG 소형저장탱크 보급사업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며 집행부의 관심을 촉구했다.
김 의원은 "전주시의 도시가스 보급률은 92.6%에 달하는 반면 단독주택의 경우 보급률이 83%에 불과하고, 대부분의 지역은 농촌"이라면서 "농촌지역에 대부분 서민들이 상주하고 있는 현실에서 주민분담금이 과중한 탓에 도시가스 보급이 터덕거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최근 정부는 농어촌지역 실정에 적합한 LPG 공급체계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보급사업의 대상자들은 10% 내의 저렴한 설치비용으로 농촌지역의 집단에너지원으로써의 가치를 창출할 수 있지만 전주지역의 홍보는 전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