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국립공원관리공단이 30일 발표한 ‘옛 국립공원연구원의 활용방안’에 대한 논란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건물 1층은 지리산 생태전시관(전시관·안내소·특산품 판매장)으로, 2층은 지리산 역사전시관(역사·문화자원 전시 및 둘레길 홍보관)으로, 3층은 지리산 생태연구원(생태연구실 및 환경교육장)으로 활용 계획을 수립했다”면서 “옛 국립공원연구원은 지리산의 자연과 문화를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는 복합시설로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공단은 총 7억원의 사업비로 올해 설계용역과 건물 정비를 실시하고, 내년에 전시시설 및 둘레길 연결 공사를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남원시민들의 눈치를 보다가 마지못해 내놓은 생색내기용 대책에 불과하다는 비판도 만만치않게 제기됐다.
일부 시민들은 “연구원이 전시관으로 둔갑할 모양새다. 연구원 이상의 시설이 반드시 남원에 입주해야 한다는 시민들의 기대감은 역시 기대에 불과했다”며 “이번에 공식적으로 내놓은 활용방안은 연구원 이전 직후인 지난 6월11일의 입장과 크게 다르지 않는 등 별다른 진전은 없어 보인다. 남원시는 이 같은 공단의 후속대책에 만족하는지 묻고 싶다”고 반문했다.
국립공원의 대표적인 연구기관이자 국가기관인 국립공원연구원은 국립공원의 자연, 역사, 문화, 사회, 인문, 환경 등의 연구를 통해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할 목적으로 지난 2005년 남원시 주천면에 설치됐다.
이런 연구원이 건물이 낡고 협소하다는 등의 이유로 지난 6월9일 강원도 원주로 이전했다.
당시 강동원 국회의원과 지역민들은 “지역민의 의견수렴은 물론 해당 지자체와 단 한차례 협의도 없이 이전을 강행한 것은 전북도민과 남원시민을 우롱하고 기만하는 처사”라며 국립공원연구원 이전에 걸맞는 이상의 새로운 조직 신설을 촉구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