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시가 지리산 케이블카(삭도)의 사업지를 변경하면서, 기존 사업지의 주민들이 크게 반발하고 나섰다.
남원시는 일방적인 사업지 변경과 안일한 대응으로 이 같은 문제를 초래했다는 비난을 면하기 어렵게 됐다.
시는 지난 15일 산내면사무소 회의실에서 지리산 케이블카의 사업지를 산내면에서 운봉읍으로 변경하는 내용으로 주민설명회를 개최했다.
시는 애초 산내 반선에서 반야봉 아래 중봉까지 6.6㎞(사업비 예상 421억원)를 잇는 케이블카를 추진하다가, 지난 10월 운봉 허브밸리에서 바래봉까지 2.1㎞(사업비 예상 250억원)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노선을 변경했다.
시는 경쟁지인 남원 구례 보다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불가피한 노선 변경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남원시 김희옥 문화관광과장은 “자연공원 삭도 설치 및 운영 가이드라인, 국립공원 삭도 시범사업 검토기준에 적합한 방향으로 선회를 결정한 것”이라며 “산내면 주민들의 허탈한 심정은 이해된다. 하지만 지역발전을 위한 대승적인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시는 변경된 노선으로 5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내년도에 관련 용역을 추진할 계획이다.
하지만 산내면 주민들의 반발이 심상치않다.
공만수(55) 뱀사골 주민협의회장은 “1년에 200만명이 뱀사골을 찾는다. 이 곳에 케이블카가 설치되면 지역 경쟁력을 더 갖출 수 있는 장점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운봉 바래봉 쪽으로 노선을 변경하려 하는 것은 주민들을 무시하는 처사”라면서 “합당하지 않은 곳에 케이블카를 설치한다니 주민들이 반발할 수 밖에 없다. 뱀사골에 케이블카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주민들은 사전 논의도 없이 일방적으로 장소를 변경한 남원시를 질타하며 기존 위치를 고수해달라고 성토했다.
한편 지난 2012년 6월 환경부 공원위원회는 환경 훼손, 불확실한 경제성 등을 이유로 4개 지자체(전북 남원, 전남 구례, 경남 함양과 산청)의 케이블카 사업을 부결시킨 바 있다. 하지만 지난 2월 윤성규 환경부 장관이 호남과 영남에서 1곳씩 신청하면 심의 후 결정하겠다고 말한 뒤 다시 지자체 간 경쟁이 불붙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