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가스화발전시설 현장점검 / 준공지연 초래…남원시, 대책 촉구
지난 6일 남원시 대산면 쓰레기매립장. 환경부는 이날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한국환경공단, 고등기술연구원, 시공사인 포스코플랜텍, 남원시 등과 함께 쓰레기매립장에 위치한 ‘생활폐기물 가스화발전시설 실용화 연구사업장’에 대한 현장점검을 실시했다.
환경부의 이번 현장점검은 불안정적인 시험가동과 준공 지연에 따른 의문의 눈초리가 짙어지고 있는 시점에 이뤄졌다는 점에서 이목을 집중시켰다.
생활폐기물로부터 청정에너지(합성가스)를 생산한 뒤 집진 및 정제 과정을 통해 신재생에너지(열·전기)를 얻는 이 사업은 남원시비 66억원, 국비 86억원 등이 투입됐다.
보급형 중·소규모 생활폐기물 가스화발전시스템을 개발해 실용화하기 위한 이 사업의 총 연구개발기간은 2010년 10월1일부터 2014년 5월31일까지 44개월로, 준공은 이미 1년 가량 지연된 상태다. 문제의 심각성은 1년이 경과한 현 시점에서도 여전히 시험가동에 그치고 있을 뿐, 실용화 여부를 장담할 수 없는 실정이라는 점이다.
현장점검에 앞선 관계자들의 회의는 비공개로 진행됐다. 회의장에서는 가끔씩 고성이 들려왔다. 사업을 맡고 있는 한국환경공단, 66억원을 투입한 남원시, 적자가 누적되고 있다는 시공사의 입장차가 뚜렷하게 드러나는 듯한 분위기였다. 회의장 밖으로 나온 관계자들의 발언에서는 상호 불신이 깊게 드러나 있었다.
또 한국환경공단 관계자는 “전북일보 4월22일자 보도(생활폐기물 가스화시설 남원시마저도 강한 불신)에서 일부 사실과 다른 점이 있다”며 계속된 기사 게재에 대한 불쾌감을 보이면서도, 반박 입장을 내놓는 것에 대해서는 거부했다.
이날 회의를 주재한 뒤 점검에 나선 환경부 사무관은 “연구를 실용화하는데 여러가지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주어진 기간에 하는 게 가장 이상적이지만, 연구라는 게 정해진 기간에 100% 요구를 할 수는 없다. 연구개발(R&D)이 성공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면서 “5월15일까지 준공은 어려워 보이지만 몇가지 문제점만 고치면 된다. 오래 기다리는 동안에 생긴 남원시의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저희(환경부)가 도와줄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이 사업은 정부(환경부)의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연구개발(R&D)에 실용화가 접목된 것으로, 부지 제공과 함께 66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한 남원시는 마냥 손을 놓고 지켜볼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남원시가 “계속된 시험가동 중단으로 인해 사업 성공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20톤을 처리하기 위한 164억원의 투자와 연간 28억원의 운영비 투자는 비효율적이다. 쓰레기 처리지연에 따른 남원시의 피해가 우려된다. 매립장 종료 기한(2017년 12월31일)을 고려해 환경부는 대책을 강구해달라”고 거듭 목소리를 높였다.
정부와 남원시의 막대한 예산을 쏟은 이 사업이 의문과 불신을 딛고 실용화로 연결될지, 남원시가 이에따른 피해를 입지 않을지 여부 등에 남원시민들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