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상인회 "신·구 시장 통합, 사업 지원해야" / 미소시장상인회 "공설시장·개인점포 통합 어려워" / 완주군 "고산시장 전체 상권 살리는데 지원 중점"
지난해부터 추진하고 있는 완주 고산 문화관광형시장 육성사업과 관련, 고산 전통시장 상인회가 신·구시장 통합을 통한 지원 사업비 집행을 요구하고 나서면서 진통을 겪고 있다.
고산 통합전통시장상인회(회장 이복태)는 15일 완주군청 브리핑룸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고산 문화관광형시장 육성사업이 새로 조성된 신시장 30여개 점포만을 대상으로 진행됨에 따라 구시장 상권은 고객 감소로 인해 문을 닫는 점포가 잇따르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어 “지난해 3억2000만원을 들여 신시장 활성화를 위한 각종 이벤트행사 등을 개최했지만 성과가 없어 문을 닫는 업체가 속출하고 있다”면서 “사정이 이러한데도 올해 다시 8억2000만원의 예산 투입하는 것은 세금만 낭비하고 지역상인들 사이에 갈등과 불균형만 초래한 뿐”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특히 “문화관광형 시장육성 사업이 시장 활성화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만큼 신시장과 구시장을 통합하고 투명하게 사업비를 집행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신시장 상인연합회인 고산 미소시장상인회(회장 심원희)는 “당초 공설시장 조성 때 전통시장 상인들의 참여를 요청했지만 일부만 참여했다”고 들고 “완주군에 임대료를 내고 사용하는 공설시장과 개인 상가 점포를 가진 상인들과의 시장 성격이 다르고 시장 운영형태가 다른데 이제 와서 통합하자는 것은 어렵다”고 밝혔다.
이들은 또 “단순히 상인회 조직의 통합보다는 전통시장과 미소시장이 상생 공존하는 방안을 찾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며 “경기가 어려워 상가들이 문을 닫고 있는 마당에 이해다툼으로 시장육성사업을 가로막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제안했다.
완주군 관계자는 이와 관련, “신시장과 구시장 통합을 중재하고 있지만 서로의 입장차이가 크다”면서 “고산지역 전체 상권을 활성화하는 방안과 시장 상인들이 원하는 사업들을 찾아서 추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완주군은 지난해부터 2016년까지 총 사업비 15억6000만원을 들여 지역 맞춤형사업 발굴과 특화상품 및 점포 발굴, 문화공연 콘텐츠 개발 등을 통한 고산 문화관광형시장 육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