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전주시, 성매매집결지에 전국 첫 '현장시청' 마련

서노송예술촌 프로젝트 일환으로 입주 / 16억원 들여 건물 매입·추가 확보 주력 / 업주 등 "영업보상·이주대책 없어 불편"

▲ 전주 성매매집결지인 선미촌에서 서노송예술촌 현장시청 개소식이 열린 11일 김승수 전주시장과 시의원, 여성단체 관계자들이 현판식을 하고 있다. 박형민 기자

전주시가 11일 성매매집결지인 ‘선미촌’에 현장시청을 마련하고 개소식을 가졌다. 현장시청은 선미촌을 새롭게 바꾸는 ‘서노송예술촌프로젝트’일환으로 입주했다.

 

전주시는 이날 오전 11시 서노송동 582-12번지 빨간벽돌로 지어진 4층 건물 1층에서 김승수 시장과 전주시의회 의원들, 여성단체 관계자, 주민, 공무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서노송동예술촌 현장시청’현판식을 가졌다.

 

현장시청에는 서노송예술촌팀 3명이 상주하며 선미촌 문화재생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전주시는 현장시청을 위해 올해 초 16억원을 들여 건물을 매입했고, 이 건물에 업사이클링센터 구축을 위해 현재 용역을 실시하고 있다.

 

지난 2001년 지어진 이 건물은 선미촌 대표 건물로, 지난해 11월까지 3개 층에서 성매매가 이뤄졌다.

 

성매매집결지에 행정기관이 들어선 것은 전주시가 전국 첫 사례로, 시는 지난달부터 현장시청을 운영해왔다. 이 사무실에는 성매매여성과 주민, 업주 등 많은 민원인이 찾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전주시는 성매매 업소들의 자율적인 폐쇄 유도와 정책 거점 공간 확보차원에서 지난해부터 현장시청 사무실을 비롯해 선미촌내 5개 필지를 21억을 들여 매입했으며, 현재 2곳을 더 매입할 계획이다.

 

김 시장은 “시청의 본질은 건물이 아니라 시민의 삶과 직결된 현장에 있다. 시민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단순한 행정업무 지원을 넘어 대립과 갈등이 있는 현장에도 시청이 찾아 나설 것”이라며 “지난 60여년 동안 전주의 대표적 성매매집결지였던 선미촌이 문화예술과 인권의 옷을 입고 점차 시민 곁으로 다가서고 있다. 문화예술의 힘으로 여성인권과 주민들의 삶, 시민공방촌으로의 변화를 이끌어 내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성매매 업주들은 현장시청에 대해 불만을 표출했다.

 

이날 업주 10여명은 현장시청 옆에 인권단체와 함께 추진하는 사업을 비난하는 ‘전주시가 민간단체 앞잡이냐’라는 현수막을 내걸었고, 한 성매매 여성은 ‘대책 없는 고사작전 웬 말이냐, 생존권 보장하라’는 1인 피켓시위를 벌였다.

 

개소식을 지켜보던 성매매업주 모임인 한터전국연합 전북지부 관계자는 “영업보상이나 이주대책 없이 현장 시청이 입주하는 상황이 불편할 수밖에 없지 않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경찰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20여명의 경력을 배치했으나 충돌은 발생하지 않았다.

관련기사 도심재생 속도내자…선미촌 업주·종사자들 '마스크 시위'
백세종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김제김제시 종자산업 혁신클러스터 조성 ‘파란불’

금융·증권미 증시 덮친 'AI 거품' 공포…한국·일본 증시에도 옮겨붙어

문화일반세대와 기록이 잇는 마을…부안 상서면 ‘우덕문화축제’ 7일 개최

법원·검찰장애인 속여 배달 노예로 만든 20대 남녀⋯항소심서도 ‘실형’

익산10월 익산 소비 촉진 정책 ‘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