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11일 성매매집결지인 ‘선미촌’에 현장시청을 마련하고 개소식을 가졌다. 현장시청은 선미촌을 새롭게 바꾸는 ‘서노송예술촌프로젝트’일환으로 입주했다.
전주시는 이날 오전 11시 서노송동 582-12번지 빨간벽돌로 지어진 4층 건물 1층에서 김승수 시장과 전주시의회 의원들, 여성단체 관계자, 주민, 공무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서노송동예술촌 현장시청’현판식을 가졌다.
현장시청에는 서노송예술촌팀 3명이 상주하며 선미촌 문화재생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전주시는 현장시청을 위해 올해 초 16억원을 들여 건물을 매입했고, 이 건물에 업사이클링센터 구축을 위해 현재 용역을 실시하고 있다.
지난 2001년 지어진 이 건물은 선미촌 대표 건물로, 지난해 11월까지 3개 층에서 성매매가 이뤄졌다.
성매매집결지에 행정기관이 들어선 것은 전주시가 전국 첫 사례로, 시는 지난달부터 현장시청을 운영해왔다. 이 사무실에는 성매매여성과 주민, 업주 등 많은 민원인이 찾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전주시는 성매매 업소들의 자율적인 폐쇄 유도와 정책 거점 공간 확보차원에서 지난해부터 현장시청 사무실을 비롯해 선미촌내 5개 필지를 21억을 들여 매입했으며, 현재 2곳을 더 매입할 계획이다.
김 시장은 “시청의 본질은 건물이 아니라 시민의 삶과 직결된 현장에 있다. 시민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단순한 행정업무 지원을 넘어 대립과 갈등이 있는 현장에도 시청이 찾아 나설 것”이라며 “지난 60여년 동안 전주의 대표적 성매매집결지였던 선미촌이 문화예술과 인권의 옷을 입고 점차 시민 곁으로 다가서고 있다. 문화예술의 힘으로 여성인권과 주민들의 삶, 시민공방촌으로의 변화를 이끌어 내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성매매 업주들은 현장시청에 대해 불만을 표출했다.
이날 업주 10여명은 현장시청 옆에 인권단체와 함께 추진하는 사업을 비난하는 ‘전주시가 민간단체 앞잡이냐’라는 현수막을 내걸었고, 한 성매매 여성은 ‘대책 없는 고사작전 웬 말이냐, 생존권 보장하라’는 1인 피켓시위를 벌였다.
개소식을 지켜보던 성매매업주 모임인 한터전국연합 전북지부 관계자는 “영업보상이나 이주대책 없이 현장 시청이 입주하는 상황이 불편할 수밖에 없지 않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경찰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20여명의 경력을 배치했으나 충돌은 발생하지 않았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