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지역 3만 4000명의 학생과 어린이들에게 공급되는 친환경농산물 생산단지와 친환경학교급식지원센터 인근에 레미콘 공장건립이 추진돼 주민들이 강력히 반발하고 나섰다.
군산시 학교운영위원장협의회(회장 한경일)와 군산교육지원청 관계자 등 30여 명은 12일 군산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학교급식 친환경농산물생산단지 내 레미콘공장 설립을 절대 반대한다”고 밝혔다.
학교운영위원장협의회는 “해당 업체는 친환경 농민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레미콘공장 설립 추진을 철회하고, 정당한 군산시의 공장 설립 승인 불허처분에 대한 행정심판 청구를 철회할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레미콘 업체가 들어설 경우 폐수 방출로 인한 수질오염과 비산먼지로 인한 대기오염, 도로파손과 교통사고 위험에 다른 주민들의 반대와 친환경농산물 오염과 생산 차질을 우려한 군산시의 설립 불허 조치가 있음에도 업체는 행정심판을 통해 레미콘공장 설립을 강행하고 있다”면서 “이 지역은 군산지역 모든 학생과 어린이에게 공급되는 친환경 농산물을 생산하는 집적단지로 레미콘공장이 들어서면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전북과 수도권에 친환경 농산물을 공급하고 있는 터전에 레미콘 공장이 들어서면 지난 수십 년간 농약과 비료살포를 억제하고 친환경 채소를 재배할 수 있도록 가꾸어놓은 논밭과 시설 하우스가 오염될 것”이라고 토로했다.
특히 “레미콘 슬러지가 토양에 유입되면 많은 미생물이 죽게 되고 결국 토양과 수질이 오염될 수밖에 없으며 유해 중금속 중 크롬의 경우에는 피부질환을 비롯해 천식, 기관지염을 일으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암물질도 뒤섞여 있어 심한 경우에는 폐암과 위암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자리에서 군산시 교육지원청 생활건강지원 과장 김우찬은 “친환경학교급식지원센터 인근에 환경유해 시설이 들어서면 자칫 친환경 농산물 신뢰도 불신으로 이어져 전북도와 수도권에 공급하는 친환경 농산물이 차단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학부모 마승철 씨(48)는 “농촌 지역에 유해물질 생산 시설 건립을 예방할 수 있는 조례 제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해당 업체는 지난 1월 군산시 성산면 산곡리 227번지 일원에 공장건립 승인 신청을 했으나 시는 건축불허가 처분했으며 업체는 이에 불복, 전북도에 행정심판을 청구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