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동 주민, 시민단체·변호사 등과 민관 공동대응
팔복동 공업지역 환경오염 해소 위한 지도·단속
지구단위계획 통해 신규 유해업종 입주 제한
여론 무마용 설익은 대책이라는 지적도
속보= 전주시 팔복동에 건립 중인고형연료(SRF) 소각장과 관련해 전주시가 인근 지역 주민 및 시민단체 등과 민관 공동대응단을 꾸려 저지하기로 했다. (29일 자 4면 보도)
또 주거지역이 인접한 팔복동 공업지역을 중심으로 환경오염 대책 전담부서를 신설하는 등 관련 업체에 대한 지도·단속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김양원 전주부시장은 29일 전주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팔복동 소각장 등 환경오염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인근 주민대표, 시민단체, 변호사와 함께 민관 공동대응단을 구성하는 등 강력히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부시장은 “팔복동 공업지역에 대한 지구단위계획을 통해 해당 지역의 신규 유해업종 입주를 제한하고, 기존 업체에 대해서도 친환경 업종 전환을 유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팔복동 인근 만성지구 아파트 단지를 찾아 전주시의 소각장 대응 방안에 대한 주민설명회를 열겠다”고 덧붙였다.
이와관련 이날 전주시청 강당에서 열린 ‘2035년 전주도시기본계획(안) 공청회’에서도 팔복동 소각장 건립 문제가 불거졌다.
공청회에 참석한 만성지구 주민들은 “주변에만 소각장이 13개나 되는데, 또다시 소각장이 들어서면 환경오염이 심화돼 주민 피해가 가중된다”고 비판했다.
일각에서는 해당 폐기물 업체의 소각장 건립 계획이 표면화된 지 2년이 넘어서야 전주시가 설익은 여론 무마용 대책을 내놓았다는 비판도 나온다.
전주시가 해당 업체의 폐기물 처리시설 건립 계획을 알고도 법적 문제가 없다는 판단 아래 사업계획 ‘적정 통보’, ‘허가증명서 교부’ 등 제반 행정절차를 승인했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9월 주민설명회 등을 통해 인근 지역주민들이 소각장 건립 계획을 알면서 사태가 일파만파 커졌고 전주시는 입장을 번복해 ‘소각장 건립공사 중지 및 원상회복 명령’을 내렸지만 해당 폐기물 업체가 제기한 ‘행정처분 취소 청구’ 소송 1심에서 패했다.
현재 고형연료 소각장 건립 공사는 상당 부분 진척돼 공정률이 70%에 이른 것으로 알려졌다.
김승수 시장은 “주민 뜻에 반하는 폐기물 처리시설이 발 붙이지 못하도록 지역주민 및 시민단체 등과 공동으로 강력 대응할 계획”이라며 “근본적 문제해결을 위해 지역 정치권과도 공조하겠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