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추도시로 발전, 전북 몫 두 배로 늘릴 것”
경제·문화 축, 일자리·문화관광·사회적도시 등 7대 목표 제시
“세계 속 대한민국 대표 도시로 육성”
대한방직 터 개발, 시민 및 전문가들과 함께 합리적 판단
김승수 전주시장이 올해 광역시에 준하는 특례시 지정을 받아 길고 길었던 소외의 시대를 끊어내고 세계 속으로 도약하는 새로운 전주를 만들겠다는 강한 의지를 표명했다.
김 시장은 10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신년 기자회견을 열고 “특례시를 지렛대 삼아 전주다움을 자산으로 대한민국을 대표하고 세계 속으로 도약하는 담대한 전주시대를 열겠다”고 말했다.
김 시장은 “그동안 전주와 전북이 다른 지역보다 뒤처졌던 것은 인구·일자리·교통 예산과 인프라가 수도권·광역시 등에 집중되는 구조적 한계에 갇혀 있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특례시는 일반 시와는 달리 조직·재정·인사·도시계획 등 자치 행정과 재정 분야에서 폭넓은 재량권 및 특례가 인정되는 도시를 말한다. 특례시로 지정되면 광역시에 준하는 행정권한을 갖게 된다.
우선 특정분야의 업무를 전담하는 부단체장을 둘 수 있다. 또 그린벨트 해제와 함께 자체 연구원 설립 권한 등이 주어진다.
김 시장은 “특례시 지정은 전북도나 도내 다른 시·군의 몫을 줄이지 않고 오히려 두 몫 이상 받아내 전주를 중추도시로 발전시킬 수 있는 가장 좋은 해법”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전주시는 새해 ‘특례시로 담대한 전주, 더 전주답게 세계 속으로’라는 비전 아래 경제와 문화를 두 축으로 한 7대 목표, 35개 전략을 제시했다.
7대 목표는 △사람중심 일자리 도시 △글로벌 문화관광도시 △활력있는 성장도시 △창의적인 예술교육도시 △맑은 공기 생태도시 △포용적인 복지도시 △공유기반 사회적도시이다.
세부 사업을 보면 드론산업지원 허브 구축, 탄소산업으로 일자리 창출, 국제회의·전시산업 활성화, 법원·검찰청 부지 중심 뮤지엄밸리 조성, 천만그루 정원도시 프로젝트, 사회적농업과 안전먹거리 정책 추진 등이 눈길을 끈다.
시는 이날 발표한 2019년도 주요 업무계획의 세부 사업들을 향후 시민들과 시의회, 전문가 등의 의견 수렴과 자문 절차를 거쳐 구체화 할 방침이다.
김승수 시장은 “뒤에서 따라가는 도시가 아닌 앞에서 이끌어가는 도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도시를 만들겠다”며 “특례시를 반드시 실현해 더 전주답게 세계 속으로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또 진척이 없는 전주종합경기장과 대한방직 터 개발과 관련해 “전주종합경기장 문제를 풀기 위해 전북도, 롯데 측과 대화를 통해 좋은 안을 도출할 것”이라며 “대한방직 터의 경우 자광이 다시 개발계획안을 제시하면 시민 및 전문가들과 함께 전주의 좋은 미래를 위한 합리적 판단을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전북 출신의 더불어민주당 김병관 의원은 지난해 12월 3일 인구 50만 명 이상, 행정수요자수가 100만 명 이상인 대도시와 도내 광역시가 없고 도청 소재지인 대도시들을 특례시로 지정할 수 있는 내용의 ‘지방자치법 일부개정 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