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전주 생활인구 100만명, 특례시 지정 당위성 찾았다

통신사 빅데이터 분석, 최대 130만 육박
정부의 인구 100만 이상 기준에 대응할 카드 쥐어
관광명소 많고 각종 행정기관 밀집 효과
김승수 시장 “획일적 주민등록 인구 적용은 지역 불균형 부추겨”

전북의 행정수도인 전주지역 생활인구가 일일 최대 130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가 단순 주민등록 인구 수치인 100만명을 기준으로 내세운 특례시 지정 방침과 관련해 실 생활인구를 따진 특례시 지정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생활인구란 거주와 근로, 업무, 취업 등과 관련해 특정 시점·지역에 존재하는 모든 인구를 뜻한다.

전주시는 통신사 SKT가 지난해 전주지역의 생활인구에 대한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하루 평균 93만6249명, 최대 125만774명이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전주와 같은 생활권에 위치한 완주를 포함할 경우 하루 평균 109만1788명, 최대 163만3830명으로 집계됐다.

또 다른 통신사인 KT 조사에서는 지난해 10월 전주·완주 생활인구가 하루 최대 100만명을 넘어선다.

정부가 지방분권을 통한 균형발전을 위해 인구 100만명 이상의 대도시를 특례시로 지정하려는 것을 감안하면 전주 특례시 지정의 당위성을 찾게 된 셈이다.

특례시는 일반 시와는 달리 조직·재정·인사·도시계획 등 자치 행정과 재정 분야에서 폭넓은 재량권과 특례가 인정되는 도시를 말한다.

특히 KT 분석 결과, 전주시 생활인구는 평일에는 동일한 규모로 유지되지만 금요일부터 주말 기간에는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완주를 포함해 평일에는 평균 82만1468명, 주말 등에는 최대 103만2993명으로 집계됐다.

전주지역 생활인구의 거주지는 주로 전주·완주이며 관광명소가 많은 지역 특성상 주말에는 관광객 등 외지인 유입이 많았다.

전주한옥마을을 중심으로 연간 1000만명 이상의 관광객이 전주를 찾고, 유동인구를 유발하는 각종 행정기관이 집중된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전주지역의 정책 결정과 행정을 수행하는 기관은 모두 264곳으로 인구 100만이 넘는 고양(135곳), 수원(184곳), 용인(128곳), 경남 창원(261곳)보다 많다.

이에 따른 주차 문제와 쓰레기 처리, 교통수요 등 실질 행정수요는 주민등록인구(65만명)를 크게 넘어서지만 이를 감당할 인프라는 턱 없이 부족하다는 게 전주시 설명이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획일적인 주민등록상 거주 인구로 특례시를 지정하는 것은 오히려 지역간 불균형을 부추기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실제 생활인구와 행정수요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지역 특성은 무엇인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특례시를 지정해야 국가균형 발전이 앞당겨질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전주시는 오는 13일 전주 그랜드힐스턴호텔에서 ‘포용국가를 위한 지역균형 발전과 특례시 세미나’를 개최한다.

최명국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만평[전북만평-정윤성] “우리가 황교안이다”…윤어게인

정읍전북과학대학교 제8대 김상희 총장, 지역이 필요로 하는 대학으로 지역사회와 상생발전 앞장

정치일반강훈식 비서실장 발언 두고…‘새만금 공항 저격론’ 무성

정치일반[엔비디아 GTC 현장을 가다] ③ AI 이후의 세계 “지금 태어나는 세대, AI 없는 세상 경험하지 못할 것”

자치·의회김슬지 전북도의원 “중앙부처·산하기관 파견인사, 기준과 절차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