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식품클러스터가 동북아 식품시장의 허브로 성장하기 위해선 2단계 사업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특히 행정절차에만 5년 이상이 소요되기 때문에 당장 시작해도 빨라야 2024년에나 사업을 시작할 수 있다는 전문가 분석도 나왔다.
그러나 농식품부는 2단계 사업 추진에 소극적인 입장만을 되풀이해 ‘국가식품클러스터를 세계적인 식품클러스터로 육성하겠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에 반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지적이다.
4일 조배숙 의원이 ‘국가식품클러스터 활성화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국회의원회관에서 주최한 정책토론회에서 한국식품연구원 권대영 책임연구원은 농식품부의 국가식품클러스터 육성 의지를 세밀히 분석한 자료를 발표했다.
권 책임연구원에 따르면 국가식품클러스터는 1단계 사업으로 기반을 구축하는 하드웨어적인 사업이었다면 2단계는 위상을 제고하는 소프트웨어 사업에 방점을 둬야 한다고 제안했다. 1단계 232만㎡의 산업단지와 국가식품클러스터지원센터를 구축해 동북아 식품시장의 허브로 육성하기 위한 첫 발을 내딛었다면 2단계는 302만㎡의 산업용지 개발을 통해 식품산업 경쟁력을 제고할 종합지원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2단계 사업에선 구체적으로 빅데이터제공센터, 국제비지니스센터, 국제식품컨벤션센터, 국제 위생검역 공동한국사무소, R&D지원센터, 세계식품박람회, 식품무역아카데미 운영 등 소프트웨어적 사업들을 담아야 한다고 봤다.
세계적 명품 식품클러스터가 되기 위해선 2단계 사업이 필수적이지만 오랜 시간이 필요해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했다. 산업단지를 조성하기 위해선 통상 행정절차에 3년, 예비타당성 조사 1년, 승인과 고시에 1년 등 5년에서 7년의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당장 시작해도 2024년에나 착공할 수 있는 셈이다.
그러나 농식품부는 1단계 분양률을 보며 2단계를 추진해야 한다는 원론적인 입장만을 되풀이하고 있다.
토론회에 참석한 농식품부 황규광 과장은 “2단계 추진의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1단계 사업의 기업투자 확대 등을 통한 활성화가 우선되어야 한다”며 “1단계사업 활성화라는 전제가 필요하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되풀이했다.
권 책임연구원은 “국가식품클러스터는 단순히 산업단지 조성이 아닌 4차 산업혁명과 관계된 사업으로 목표를 분명히 해야 한다”며 “단순 산업단지 조성이라는 접근은 2단계 사업의 명분을 떨어뜨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