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새만금개발공사, 재생에너지사업 밥그릇 챙기기?

공사 지분 29%, 지역업체 지분 확대 걸림돌
개발이익 공유화 기여율에 가점, 업체 불만
개발공사“자생 위해 지분율 낮출 수 없다”

새만금개발공사(이하 개발공사)가 재생에너지 사업을 추진하면서 지역 상생을 외치고 있는 것과는 달리 개발 이익 환수에만 몰두하고 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최근 발주된 ‘새만금 육상 태양광 1구역 발전사업’ 공모지침이 지역업체 및 컨소시엄사의 수익 창출보다는 개발공사의 개발 이익 환수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판단이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공공기관과 달리 수익을 창출해야 하는 ‘공사(公社)’이긴 하지만 공적 역할보다 수익에 더 치중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다음 달 1일 마감 예정인 ‘새만금 육상 태양광 1구역 발전사업’ 공모를 통해 개발공사는 우선협상 대상자를 선정하고, 이후 SPC(특수목적법인)를 구성해 29%의 지분을 갖고 2대 주주로 이 사업에 참여하게 된다.

개발공사의 지분 참여는 공사 설립 목적에 따라 전기판매 및 개발 이익 환수를 통해 새만금개발에 재투자하겠다는 취지에서다.

그러나 개발공사의 지분참여에 대해 업계는 사업 시행기관인 공사가 ‘새만금 개발을 위한 재투자 재원 마련’이라는 명분 아래 ‘폭리’를 취하려 하고 있다는 지적과 함께 설비·토목 등 제반 비용에 들어가는 실행가를 낮춰 발전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꼼수’를 부리고 있다고 주장한다.

사업 공모 지침서를 보면 개발공사의 개발이익 환수금 비중이 높을 경우 더 높은 가점을 부여하고 최저가 투찰자에 최고 점수를 부여토록 했기 때문이다.

공모 지침서 중 계량 평가 방법에는 ‘새만금 개발이익 공유화 기여율 평가’에 전기발전수익 매출의 3%~7% 이상을 제시할 경우 가점 6점~10점을 부여한다. 또한 ‘전기판매가격 평가’와 ‘총발전량 평가’에서는 높은 가격에 전기를 판매하는 안을 제시한 컨소시업사에게 더 높은 배점을 주도록 했다.

‘공사비’ 부분에서는 MW당 EPC(설계·시공·자재조달 등 사업제안자가 제시한 총투자비) 공사비에 5점을 부여했다.

이는 최저가 투찰자에게 가산점을 주겠다는 대목으로 낮은 단가에 발전시설 공사를 진행시켜 투입비 대비 발전수익을 높이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 같은 공모지침에 대해 재생에너지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업체들은 개발공사의 지분율을 낮추는 등 개선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컨소시엄 구성에 참여한 업체 대표 김 모 씨는 “정부는 애초 새만금재생에너지 추진방향에 ‘지역 상생 협력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중요한 실행과제로 내세웠지만 개발공사는 그들만의 이익을 위한 지침을 내려 ‘밥그릇 챙기기’에 몰두하고 있다”며 “공모 지침을 지역 상생협력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맞게 재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새만금개발공사 관계자는 “새만금 내부 개발이라는 국가적인 사업의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조 단위 예산이 필요하며 이에 필요한 재원(공채발행에 들어가는 이자 등)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태양광 사업 등을 통한 수익 창출이 필요하다”면서 “개발공사가 설립될 당시 회계법인의 용역을 통해 29% 지분을 갖도록 했으며 공사의 자생을 위해 지분율을 낮출 수 없다”고 밝혔다.

문정곤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사건·사고군산서 흉기 들고 거리 돌아다니던 60대 검거

정치일반이틀째 밤샘수색에도 울산화력 실종자 2명 못찾아…수색 계속

자치·의회임승식 전북도의원, 노인 임플란트 지원근거 마련

김제김제시 자전거 서포터즈 ‘따르릉 탐험대’ 발대식

임실제10회 임실 아삭아삭 김장페스티벌 SNS에 참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