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2일 ‘부지재생 기본구상(계획) 수립 용역 발주
전체 12만 여㎡ 부지 개발안 담길듯
10개월간 진행한 뒤 롯데와 협약 후 내년 하반기 착공
전주시가 전주종합경기장 개발을 위한 기본계획(구상) 용역을 발주하면서 사실상 종합경기장 개발의 첫발을 내딛었다.
시는 2일 ‘전주 종합경기장 부지재생 기본구상 수립용역’ 입찰공고를 내고 용역 수행업체 선정을 예고했다.
3억4650만원의 예산으로 이뤄지는 기본용역은 종합경기장 개발에 필요한 사항을 모두 담은 ‘종합경기장 부지재생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기 위해서다. 용역기간은 착수일로부터 10개월이다.
마스터플랜에는 종합경기장 개발의 핵심인 토지이용체계가 담기며, 토지이용체계에는 종합경기장 전체 면적인 12만 여㎡의 대략적인 개발 방향이 수립될 예정이다.
종합경기장 개발과 관련해 교통·동선계획과 조경·녹지계획, 건축 가이드라인, 도입시설 및 프로그램 구상, 시설 규모 확정, 시설수요예측 등 전반적 내용들이 마스터플랜에 포함된다.
시는 종합경기장 개발을 오는 2020년 말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용역이 끝난 뒤 ㈜롯데쇼핑과 협의를 거치고 내년 하반기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에 앞서 시는 이르면 올해 말 ㈜롯데쇼핑과 협약을 체결하고 내년 상반기 기본실시설계에 들어갈 계획이다.
앞서 지난 4월 김승수 전주시장은 종합경기장 개발 방향이 담긴‘시민의 숲 1963’ 계획을 발표했다.
종합경기장 전체 면적의 약 33.1%(4만 여㎡)에 호텔과 백화점, 영화관, 전시컨벤션센터를, 나머지 부지에는 시민공원을 조성한다고 제시했다. 마스터플랜에는 ㈜롯데쇼핑이 임대방식으로 사용할 백화점 등에 대한 면적과 구도, 위치 등도 구체화 될 것으로 보인다.
향후 기부 대 양여방식으로 지난 2012년 시의회 동의를 받았던 부분을 기부 대 임대방식으로 전환하려면 시의회 동의를 받아야 한다. ㈜롯데쇼핑이 개발해 시에 기부채납 할 예정인 호텔 등을 기부채납받기 위해 공유재산 관리 계획 변경도 의회 동의가 이뤄져야 한다.
종합경기장 개발방식에 대한 반대여론을 수렴하기 위한‘시민참여단’도 용역 수행 과정중에 이뤄지는 내용이 용역에 담기면서 시가 반대여론을 어떻게 수용할지에 대한 관심도 쏠린다. 시민사회단체들 주도로 지난 7월‘전주종합경기장 롯데 재벌 특혜개발 반대’주제로 토론회가 열리는 등 반대 여론도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전주시 관계자는 “시민의견을 충실히 수렴해 용역과 종합경기장 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