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택근무 확산, 수도권 인구 분산에 대응
신혼부부 주택정착금 지원사업 등 검토
군산시가 정부의 ‘한국판 뉴딜’종합계획 발표 및 포스트 코로나 시대로 급변이 예상되는 군산시 인구변화에 따른 선제적 대응 방안에 고심하고 있다.
시는 114조원 규모에 달하는 한국판 뉴딜정책의 목표가 ‘지역 균형발전’ 측면인 만큼 국비 확보에 총력을 다할 방침이라고 24일 밝혔다.
시의 선제적 대응 배경은 코로나19에 따른 경제 저성장·양극화를 극복하기 위한 경제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시는 선제적 대응으로 지난달 23일 ‘군산형 디지털·그린뉴딜 사업’을 위한 정책자문단 긴급 현안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간담회는 코로나19라는 미래에 대한 불안감으로 내수경제가 위축되고 이에 따른 일자리 감소가 개인 소득감소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고리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와 함께 코로나19의 장기화로 비대면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원격·재택근무 등 확대로 서울 및 수도권 중심의 인구가 지역으로 분산될 것으로 전망하고 이에 따른 대응으로 인구정책위원회에서 신혼부부 주택정착금 지원사업을 논의한 바 있다.
이 사업은 소득 여부와 관계없이 신혼부부가 주택을 임대 및 매매할 경우 정착금을 지원해주는 것으로, 첫째 아이 출산 시 이자를 탕감해주고 둘째 아이 출산 시 정착금의 1/3을 탕감해주며 셋째 아이 출산 시 정착금을 전액 탕감해주는 제도다.
현재 전국 최초 시범사업으로 추진하기 위한 국비 확보를 위해 군산시가 정치권에 건의한 상태다.
이 밖에 군산형 뉴딜 사업을 통해 수도권에서 군산시로 이전하는 사람들에게 주요관광지 및 맛집 탐방의 기회를 제공하는 ‘우리 시 알리기 사업’과 교육 서비스 지원에 대한 우선권 제공 등도 추진하고 있다.
고대성 군산시 기획예산과장은“급변하는 인구 패러다임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선제적 대응이 중요하다”며 “지역 여건에 맞는 인구정책 발굴을 위해 앞으로 더욱 고심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극복하는 전화위복의 계기를 만들겠다”라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