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소속 단일화 시, 2년 전 궤적대로 갈가능성
유력후보들 불출마, 탈당, 정치신인 세몰이 이어지면서 시계제로
6·1지방선거 진안군수 선거에 영향을 주는 예상 밖 상황이 속속 발생하면서 선거구도가 출렁거리고 있다.
이충국(67) 전 도의원의 불출마 선언, 이한기(69) 도의원의 민주당 탈당, 천춘진(51) 정치신인의 부상이 그것이다.
이와 관련, 민주당 후보와 무소속 후보가 치열하게 접전을 벌인 2020년 재선거전 양상이 재현되는 것 아니냐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전춘성(60) 군수와 ‘재격돌’이 필연처럼 보였던 이충국 전 도의원이 지난 24일 “진안의 미래를 위해 유능하고 패기 넘치는 사람들이 앞장서길 바란다”며 예상을 깨는 불출마를 선언했다.
이 전 도의원은 지난 2020년 선거에서 48.7%라는 높은 득표율을 확보, 불과 454표(2.6%) 차의 패배를 한 바 있어 유력한 도전자로 꼽혔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지난 28일에는 이한기 도의원이 민주당을 탈당한 뒤 무소속으로 출마하겠다고 선언하는 일이 발생했다.
지역에선 오랫동안 민주당에 몸담으며 군의원 3선, 도의원 1선으로 활동해 온 관록의 지역 정치인이 선거를 불과 두 달 가량 앞두고 탈당한 것 역시 눈길을 끈다.
이뿐만이 아니다. 올해 초부터 지역을 누비고 있는 무소속 정치 신인 천춘진 전 ‘애농’ 대표가 최근 첫 여론조사에서 예상을 뛰어넘는 지지율을 기록한 것도 예상 밖 상황이다. 9%에 가까운 지지율을 얻은 것이다.
이 같은 분위기는 2020년 군수 재선거 당시 치열하게 벌어졌던 민주당 후보와 무소속 단일 후보 간의 ‘맞대결 학습효과’ 때문으로 보인다.
2020년 군수 재선거에서 전춘성 현 군수와 맞붙은 무소속 이충국 후보는 초반의 절대적 열세를 딛고 추격전을 벌여 48.7%(8500표) 득표율을 확보, 51.3%(8954표)를 얻은 전춘성 후보에게 2.6%(454표) 차로 석패했다.
이에 따라 무소속 진영에서는 탈당한 이 전 도의원과 일찌감치 무소속 출마를 선언하며 표밭을 누벼온 천 전 대표 모두에게 단일화를 권유하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만약 단일화가 성사되면 불출마를 선언한 이충국 전 도의원의 표는 무소속 단일 후보에게 돌아갈 가능성이 높고, 이에 따라 무소속의 ‘초반 열세, 막판 강세’라는 2020년 재선거 당시 상황이 재현될 수 있다는 기대심리가 그 배경이다.
이와는 달리, 현역 프리미엄을 강력하게 거머쥔 전 군수가 지난 2년 동안 무난하게 군정을 이끌어 오면서 여타 예비후보들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군민 접촉 기회를 늘린 점을 중시, “2년 전 상황은 절대 반복되지 않을 것”이라는 엇갈린 전망도 나온다.
2년 전 재선거에서 전 군수는 무소속 이충국 후보보다 초반 지지율이 월등히 앞섰으나 선거 막판 극적인 무소속 3자(이충국·김현철·송상모) 단일화가 이뤄지면서 역전까지 허용할 뻔했다.
한편, 진안군수 민주당 경선 대진표는 이한기 도의원의 탈당에 따라 전 군수와 조준열(62) 군의원 간의 양자 대결로 좁혀졌다.
진안=국승호 기자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