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농민운동(반봉건 농민항쟁의 상징) 시작 알리는 포고문 선포지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이 2일 ‘고창 무장기포지(高敞 茂長起包址)’를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으로 지정했다. 공음면 구암리 590번지 일원 19필지(7390㎡)가 해당된다.
고창 무장기포지는 조선 봉건사회의 부정과 부패의 척결, 반외세의 기치를 내걸고 민족의 자주권을 수호하고자 했던 대규모 민주항쟁인 ‘동학농민혁명’의 시작을 알리는 포고문을 선포한 집결지이자 출발점이다.
그동안 고창 무장기포지는 장소성에 의미가 있었으나, 유적과 유물로 정확한 위치를 고증하기 어려워 장소를 명확히 특정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동학농민혁명의 기포지를 찾기 위해 1985년부터 다양한 연구가 시행되었으며, 2014년부터 2020년까지 각종 학술대회가 개최되었고, 관련 고문헌(수록(隨錄), 무장현 채색지도, 무장현도 등)의 분석을 통해, ‘고창군 공음면 구암리 일대’가 동학동민혁명의 기포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술적 검토 외에도 ‘구암리 일대’에 거주하는 원주민 다수로부터 이 일대에서 동학농민혁명군이 집결하고, 훈련하였다는 일치된 증언도 확보할 수 있었고, 증언에서 제시된 위치적 특성이 현재도 남아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창출신 전봉준 장군 중심의 동학농민군은 1894년 3월20일(음력) 무장현 동음치면 당산촌(현 공음면 구암리 구수)에서 동학농민혁명의 전국적 전개를 알리는 무장포고문을 선포하며 기포했다.
동학농민혁명은 조선 봉건사회의 부정‧부패, 외세의 침략으로부터 민족의 자주권을 수호하고자 했던 민주항쟁임에도 오랜 기간 동안 ‘동학란’ 또는 ‘반란’으로 인식되어 왔다. 다행히도 최근 동학농민혁명에 대한 관심 증대, 다양한 학술 연구의 시행을 통해 동학농민혁명이 재조명되는 시점을 맞이하고 있다.
문화재청은 이와 같이 역사적으로 큰 의미가 있었던 민주항쟁인 동학농민혁명이 전국적인 사건으로 확산되는 계기가 된 기포(起包)의 장소를 사적으로 지정하여 전라북도, 고창군과 협력을 통해 고창 무장기포지를 체계적으로 보존·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시행할 계획이다.
이주철 고창군수 권한대행은 “고창 무장기포지의 사적지정은 동학농민혁명의 성지로서 고창의 위상강화와 군민의 자긍심 고취에 크게 기여하고, 앞으로 동학농민혁명 성지화 사업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탄이다”며 “체계적 보존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