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전국동시지방선거 군산시 기초의원 후보 등록 결과, 투표 없이 당선이 확정된 후보는 9명으로 나타난 가운데 후보자 등록 결과를 놓고 지역에서는 “민주당 독주로 유권자가 투표권을 행사할 수 없는 선거로 전락했다”는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난 13일 중앙선거관리워원회 선거 통계시스템에 따르면 군산시는 8곳의 선거구 가운데 4곳에서 9명의 무투표 당선자가 나왔다.
이들은 모두 민주당 후보들이며 △가 선거구 김경구·서동수 △마 선거구 송미숙·박광일 △사 선거구 김경식·지해춘·한경봉 △아 선거구 김우민·서동완 후보가 무투표 당선자다.
이 가운데 가 선거구 김경구 후보는 시의회 최초 7선 의원 타이틀을 얻게 됐다.
나·다 선거구는 무소속 김응권·최환엽 후보가 각각 도전해 유권자들이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다.
정수 3석인 라 선거구는 민주당 공천자 3명에 맞서 정의당 정지숙 후보와 무소속 박욱규·손민찬 후보가 유권자들의 표심을 공략하고 있다.
바 선거구는 민주당 나종대·윤신애·최창호 후보와 국민의 힘 오지성 후보 그리고 무소속 김진 후보가 격돌한다.
이번 선거에서 유독 무투표 당선자가 많은 이유는 ‘민주당 공천이 당선‘이라는 지역 정서에 기호 2·3번을 받는 야당 및 무소속 후보의 등록률이 저조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민주당 공천 과정에서 불거진 공정성 논란에 따른 일부 현역 의원들의 탈당 후 무소속 출마가 예상됐지만, 회의감에 출마를 포기하는 분위기까지 더해졌다.
군산시의원 A씨는 “민주당 공천 발표 후 탈당해 지역구를 옮겨 무소속 출마를 고민했지만 본 선거에서 탈락이 불을 보듯 뻔해 출마를 포기했다”고 말했다.
사 선거구 주민 김 모 씨는 “내 손으로 직접 지역을 위해 일하는 일꾼을 뽑으려 했지만, 마치 내 투표권을 도둑맞은 기분이다”면서 “민주당 일색 시의원들로 의회가 꾸려지면 시정에 대한 견제가 사라진 ‘식물 의회’로 전락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공직선거법 제190조 2항에 따르면 후보자 수가 선거구 의원 정수를 넘지 않을 경우, 투표 없이 선거 당일에 해당 후보자를 당선인으로 결정할 수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