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학 전 천 권 읽기, 건강 특화사업 운영 등 역할 확대 효과
완주군 도서관이 독서공간에서 문화공간으로 역할을 넓히면서 이용률도 크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군은 올들어 완주군 공공도서관 5개소의 평균 이용률이 전년 대비 41%가 늘었다고 밝혔다. 특히 완주 중앙도서관의 이용률은 120%로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완주군 공공도서관을 찾은 이용자들의 수가 급증한 것은 도서관이 더 이상 단순한 책의 보관 공간이 아닌 지식과 문화의 공간으로 자리했기 때문으로 군은 분석했다.
완주군 공공도서관은 올해 주민들의 독서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실감형 체험공간 및 디지털도서관을 조성, 주민들에게 더욱 풍부한 독서경험을 제공하도록 했다. 홈페이지 기능을 개선해 모바일회원증을 발급하고, PC 대출반납시스템 도입, AI 도서추천 영상 디스플레이를 구축하는 등 이용자들이 집에서도 도서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취학 전 천 권 읽기’ 프로젝트를 추진해 어릴 때부터 독서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 현재 300여명의 유아 및 양육자가 참여 중이다.
다양한 공모사업 선정으로 우수 콘텐츠를 확보한 것도 도서관 활성의 동력이 됐다. 전국 책 읽는 도시 협의회 우수 독서프로그램, 길 위의 인문학, 도서관 다문화서비스지원, 코딩 등 다양한 문화프로그램으로 도서관의 역할을 넓혔다.
여기에 공공도서관을 특화해 운영한 것도 도서관 이용률 증가에 한몫했다. 삼례도서관의 경우 건강 및 치매 특화도서관으로 운영해 노인과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건강한 문화 활동을 지원했고, 고산도서관은 다문화 및 생태·농업 특화프로그램 등 다양한 계층의 정보 접근성을 제공하는데 주력했다.
군은 용진면 운곡지구 및 삼봉웰링시티 조성, 귀촌 인구 증가 등 꾸준히 인구가 유입되면서 문화공간의 이용도 늘어남에 따라 도서관의 역할과 비중을 더욱 높인다는 계획이다.
향후 시니어 그림책 워크숍(50+ 그림책으로 꽃피다), 독서아카데미(삶을 바꾸는 人 테리어), 유아를 위한 책 놀이 프로그램(우리아이 그림책), 북적북적 책 축제 등 다양한 문화프로그램과 행사를 준비하고 있다.
유희태 완주군수는 “도서관은 지역사회 문화의 척도”라며 “지속적인 혁신과 다양한 프로그램의 제공을 통해 행복 완주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