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왕의 궁원 프로젝트 전문가 릴레이 포럼' 1차 회의 개최
역사·도시공학·문화관광 등 다양한 분야서 사업 세부내용 분석
26일 '국책사업화 방안' 주제로 2차 포럼
후백제와 조선왕조에 이르는 전주의 문화유산을 엮어 지속가능한 관광 생태계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시민들이 공감할 수 있는 스토리 개발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19일 전주시에너지센터 2층 회의실에서 '전주 왕의 궁원 프로젝트 전문가 릴레이 포럼' 1차 회의가 열렸다.
이 포럼은 전주시가 민선8기 핵심사업인 '왕의 궁원 프로젝트'의 주요 추진전략을 점검하고 전주의 미래 도시발전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회의에는 역사, 도시공학, 문화관광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석, 원도연 원광대 교수를 좌장으로 지역의 역사문화자원이 도시 발전을 이끌 수 있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두고 머리를 맞댔다.
참석자들은 전주가 조선의 본향이자 후백제의 왕도로서 도시 고유의 역사성을 살리기 위해선 프로젝트에 대한 핵심 스토리를 개발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들은 사업의 성격과 방향성을 세우려면 그에 걸맞는 논리를 구축해야 한다는 데 한 목소리를 냈다.
패널로 참여한 전문가 4명은 각 전문 분야에 초점을 맞춰 사업의 세부내용에 대해 토론했다.
박정민 전북대 사학과 교수는 역사적 가치를 중심으로 "이 사업이 '왕의 궁원'이라는 역사적 표현을 앞세우려면 후백제를 전면적으로 내세우고 조선왕실에 대한 내용을 콘텐츠화해서 함께 가야 한다"며 "SNS나 대중매체를 보면 전주 관광 이미지가 먹거리 위주로 굳혀져 있는데, 후백제 유적 발굴과 건물지 복원을 조속히 추진한다면 역사생태적 가치를 좀 더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경열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문화관광의 관점에서 "20년간 추진되는 대규모 프로젝트의 기본구상이 시작되는 시점인데, 공간과 개별사업을 어떻게 정립할 건지 먼저 확립할 필요가 있다"면서 "하지만 사업 발굴보다 선행돼야 하는 일은 사업 자체의 실효성과 시급성을 구체화하는 작업으로, 대규모 재정투자가 필요한 사업인 만큼 국비 확보를 위한 타당성을 세우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최성진 원광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도시계획의 차원에서 사업을 분석하면서 "관광의 관점에서 고민하는 일도 중요하지만 전주에 사는 사람들이 자긍심을 가질 수 있는 이야기를 충분히 담았으면 좋겠다"며 "사업기간도 20년이라는 굉장히 긴 시간이 소요되지만, 그 과정에서도 복원에 그치지 않고 현대에 맞는 자원으로 연계하면서 충분히 즐길 수 있는 요소가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하원호 JTV 기자는 시민들과 언론계의 시선을 대표해 "한옥마을에 집중된 관광객을 전주시내 곳곳으로 분산시키기 위한 노력은 오랫동안 이어져왔다"면서 "평범한 시민들이 이 프로젝트의 취지와 의미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도록 홍보전략을 다양화했으면 좋겠다"고 이야기했다.
서배원 전주시 왕의궁원프로젝트 추진단장은 "역사복원과 관광자원화를 함께 하려다보니 시에서도 사업을 풀어나가는 데 고민이 많았다"며 "궁·정원·숲 등 세 가지 테마를 주축으로 관광 콘텐츠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의 실행력을 높이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지는 2차 포럼은 오는 26일 오후 2시 '국토부, 문체부 등의 정부 부처 사업과 연계 및 국책사업화 방안'을 주제로 열린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