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불교 교단 내부의 개혁과 각성, 혁신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거세다.
지난 2021년 사상 초유의 원불교 경전 전량 폐기 사태 직후 교정원장이 교체되고 교단 최고 결의기관인 수위단회가 총사퇴까지 했지만 이후에도 원음방송 신사옥 매입, 약사 면허 대여 등과 관련해 잡음과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어서다.
30일 원불교 개혁연대 준비위원회는 오는 11월 4일 원불교 익산총부 앞에서 교단 혁신을 위한 전국 교도대회 및 개혁연대 출범식을 예고했다.
경전 폐기 사태 이후 구성된 교단혁신특별위원회가 2년여에 걸쳐 어렵게 마련한 교단 혁신안이 문제를 해결하는 돌파구가 될 수 있었으나, 현 수위단회 및 일부 출가 교도들의 개혁 의지 부족과 냉담한 태도, 변화 거부 등으로 실현가능성이 희박해져 전 교도의 간절한 염원인 교단 혁신이 요원해졌다는 게 이들의 입장이다.
앞서 재가·출가 교도 408명은 교단 혁신을 위한 교헌 개정을 촉구하는 합동 청원안을 수위단회에 제출하기도 했다.
청원의 주요 내용은 봉도·호법수위단 폐지 및 직선 재가수위단 설치, 종법사 피선자격 확대다.
이들은 “현 수위단회는 납득할 수 없는 이유로 합동 청원안 심의·의결을 차일피일 미루다가 결국 오는 11월 6일 올해 마지막 회의만을 남겨두고 있다”면서 “수위단회가 오는 11월 4일 개최 예정인 중앙교의회 정기총회 전에 임시 회의를 열고 교단법에 의해 적법하게 제출한 청원안을 심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합동 청원인 일동은 현 교단이 개교 이래 최대 위기를 맞이하고 있고 이번이 이미 기울어져 가는 교단을 일으켜 세울 마지막 기회라는 점에 동의하면서, 절박하고 처절한 심정으로 대종사님의 본의 회복을 열망하는 재가·출가 교도들의 의지를 모아 분연히 일어나려 한다”면서 “현재의 합동 청원이 무능하고 무기력한 수위단회의 해산 운동으로 확대되지 않기를 바라며, 수위단회가 교단 최고 결의기관의 지위에 걸맞은 밝고 빠른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