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폐 관련 '기억해야 할 아픔' '시민의 공간 활용' 의견 팽팽
이태원 분향소, 지난해 12월 설치…최근 1주기 기자회견도
일부 시민단체 공공시설 점유 두고 '시민공청회 개최' 여론
전주 풍남문 광장에 설치된 4.16 세월호 참사와 10.29 이태원 참사 희생자 전주합동분향소(이하 전주 분향소) 존폐 여부가 지역사회에서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현재 풍남문 광장 전체 면적 2045㎡ 중 이태원 분향소는 18㎡, 세월호 분향소는 9㎡를 차지하고 있다. 희생자를 추모하는 메시지 전시와 참사 진상규명 및 책임자 처벌을 촉구하는 서명운동도 함께 진행 중이다. 이 가운데 전주 분향소를 두고 '기억해야 할 아픔'과 '시민의 공간 활용'이라는 입장으로 시민들의 의견이 교차하고 있다.
△"진상 규명 위해선 시민 관심 필요"
참사 유가족과 전주 분향소를 운영하고 있는 시민단체 관계자들은 "참사의 진상을 규명하기 위해선 시민들의 관심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며 전주 풍남문 분향소를 유지해야 한다고 호소하고 있다.
이태원참사 유가족협의회 전북지부와 전북시민대책위원회는 8일 오후 전주시 완산구 전동 풍남문 광장에 설치된 합동분향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5일 이태원 참사 유가족과 전주시청간 면담에서 풍남문 광장 분향소에 대한 자진철거 요청을 받았다"며 "참사 1주기가 얼마 지나지 않은 상황에서 전주시의 요청은 매우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이어 유가족협의회는 "이번 참사는 서울이라는 특정 지역에 한정된 문제가 아니다"며 "전국 각지에 희생자를 기리는 이들이 또 다른 피해자로서 살아가고 있고, 전주 분향소는 국민들이 사회적 참사에 대해 추모할 수 있는 권리가 보장돼야 하는 공간"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전주 분향소가 민원의 대상이 아니라 사회적 참사 해결과 시민의 권리 실현을 위한 공간이 돼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이태원 참사 진실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통한 '이태원 참사 특별법 제정'을 거듭 촉구했다.
이들은 지난달 26일 같은 자리에서 이태원 참사 1주기를 기해 기자회견을 열고 진실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통한 이태원 참사 특별법 제정을 촉구한 바 있다.
세월호 분향소는 지난 2018년 4월 16일 설치됐으며, 이태원 분향소는 지난해 12월 29일부터 운영됐다.
세월호 분향소는 지난해 전주시의 철거방침에 따라 자진철거 구두 계고와 시정명령, 행정대집행 계고까지 이어지면서 철거 문제가 가시화됐지만 같은 해 이태원 참사가 발생하면서 합동 분향소 형태로 현재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세월호 분향소 관계자들은 이태원 참사를 '국가 부재에 의한 제2의 세월호 참사'로 규정하기도 했다.
△"모두의 공간, 광장 점용 옳지 않아"
광장은 일부 시민단체가 점용하는 공간이 아니라 공공에 열려 있어야 하는데, 기약도 없이 시민단체가 설치한 분향소가 유지되면서 광장 원래의 쓰임새와 성격이 흐려졌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날 이태원 참사 유가족의 기자회견 발언을 듣고 있던 한 시민은 "시간이 많이 지난 지금도 유가족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참 안타까운데, 추모 공간으로는 풍남문 광장에 무기한 천막을 세우는 것 말고도 다른 방법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싶다"고 말헸다.
인근 한옥마을을 찾은 관광객들도 "남부시장에 가는 길에 풍남문 광장을 지나면서 세월호와 이태원 참사 희생자를 기리는 분향소를 봤다"며 "외국인들 눈에는 전주시에 참사의 책임을 묻는 것으로 비춰질 수 있고, 국제관광도시 이미지나 도시 전체의 분위기도 침체되는 느낌"이라고 우려했다.
이처럼 공공시설인 풍남문 광장에 시민단체가 현수막과 부스를 설치하고 점유하면서 경관 및 시설물 이용과 관련한 공익성을 해친다는 민원이 계속되고 있어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분향소 운영을 위해 광장 한 편을 무기한 점용하는 것과 관련, 시민 공청회 등을 거쳐 철거에 대한 공론화를 이끌어내거나 아예 광장을 전주만의 추모공간 형태로 만드는 방안을 고민하는 등 활용방안을 찾는 행정차원의 대안마련도 요구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시 공유지인 풍남문 광장에 세월호와 이태원 참사 추모를 위한 분향소가 점유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 다수 민원이 접수되고 있다"며 "현재 이태원 분향소는 유가족과 협의해 자진 철거를 유도하는 중이고, 강제 철거는 고려하지 않고 있지만 서울 등 타지역 동향을 보고 정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