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발표 후 로드맵 부재, 연계성 부족 등 지적
시, 마스터플랜 수립⋯추진전략, 세부사업 재구조화
"정체성이 모호하다. 로드맵(단계적 실행계획)이 없다. 사업 간 논리적 연계성이 부족하다. 재원 조달 방안이 불투명하다."
민선8기 우범기 전주시장의 대표 공약사업인 '왕의 궁원 프로젝트'가 전면 재조정된다. 그간의 지적을 반영한 조치다.
왕의 궁원 프로젝트는 후백제부터 조선왕조에 이르는 전주만의 역사문화유산을 활용해 미래 관광자원을 육성하는 내용이다. 2023년부터 2032년까지 10년간 1조 5000억 원을 투입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이와 관련 전주시는 △왕의 궁 △왕의 정원 △왕의 숲이라는 3대 추진 전략 아래 27개 세부사업을 제시한 바 있다. 핵심사업으로는 국립후백제역사문화센터 건립, 전주 관광케이블카 설치, 한옥마을 복합쇼핑몰 건립, 전주 드림랜드 현대화 등이 있다.
그러나 해당 프로젝트는 시대적 범위 설정부터 용어 개념 정의까지 정체성이 모호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불분명한 정체성으로 인해 세부사업 간 논리적 연계성이 떨어진다는 비판도 이어졌다. 프로젝트를 총괄하는 로드맵도 없었다. 1조 5000억 원에 달하는 재원 조달 방안도 빠져있었다.
그렇다 보니 프로젝트를 발표한 지 2년이 다 되도록 아중호수 관광 활성화 등 일부 사업을 제외하고 이렇다 할 성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같은 지적이 계속되자 전주시는 지난해부터 전주시정연구원과 왕의 궁원 프로젝트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기 시작했다.
전주시는 왕의 궁원 프로젝트 마스터플랜에 따라 △왕의 도시 역사 복원(과거) △왕의 생활 체험 관광(현재) △왕의 미래 유산 창조(미래)라는 3대 추진 전략 아래 54개 세부사업을 새롭게 설정했다.
기존 27개 세부사업은 통폐합해 21개를 반영했다. 이 과정에서 세부사업의 내용과 규모가 대폭 변경됐다. 총사업비는 기존과 유사한 1조 5000억 원 규모로 예측된다.
전주시 관계자는 "전주는 전통문화도시 조성사업(2007∼2026)을 통해 전주한옥마을 관광객 1000만 명 달성이라는 성과를 거뒀다"며 "내년 해당 사업이 종료되는 만큼 새로운 문화 비전이 필요했다. 이러한 배경 속에 나온 것이 왕의 궁원 프로젝트"라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이전에는 단순히 왕의 궁, 정원, 숲이라는 개념 아래 사업을 넣다 보니 세부사업 간 연계성이 부족했다. 마스터플랜을 통해 추진전략과 세부사업을 재구조화하는 작업을 했다"며 "사업별 세부 실행계획은 담당 부서에서 마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