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03:16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지역 chevron_right 김제
자체기사

김제시 '금연클리닉' 활성화 성과낼까?

6개월 금연 비율 전국평균 밑돌아
의지 부족∙전자담배 보급 등 이유
보건진료소 등 연계 대상자 발굴

image
김제시보건소에서 운영하는 금연클리닉을 찾은 방문자가 금연 관련 상담을 하고 있다. 김제시 제공

건강을 위해 금연을 결심하는 흡연자들이 증가하고 있지만 '작심삼일(作心三日)'로 끝나는 경우가 많은 가운데, 김제시가 수억 원을 투자해 지역민을 위한 '금연클리닉'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정부가 금연정책 일환으로 지난 2015년 담뱃값을 대폭 인상해 금연과 세수 확대라는 '두마리 토끼 사냥'이란 극약처방(?)을 시행하면서 금연에 대한 관심이 증폭됐으나, 해가 갈수록 비싸진 담뱃값에 둔감해지면서 흡연률 감소가 둔화되고, 흡연자들의 주머니 부담만 키웠다는 논란이 일면서 금연분위기가 다소 수그러들었기 때문이다.

김제시의 경우 전국 보건소에서 운영하는 금연클리닉 등록자 중 6개월간 금연 상태를 유지하는 비율이 지난 2014년에는 49.2%였으나, 10년 뒤인 2024년 33.3%로 급감한 것과 비교할 때, 2023년 43.1%(금연클리닉 등록자 527명 중 227명), 2024년에는 29.2%(521명 중 152명), 올해에는 5월말 기준 18.4%(266명 증 49명)로 전국평균을 밑돌는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담뱃값 대폭 인상과 사회적인 금연문화 확산으로 흡연자들이 감소하는 추세지만, 금연의지가 약한 흡연자들과 전자담배가 연초담배에 비해 담배냄새로 인한 주변인들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명확하지 않은 입소문으로, 금연클리닉에 등록하고도 중도에 금연을 포기하는 흡연자들이 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전자담배는 연초담배에 비해 크게 해롭지 않다'는 잘못된 인식도 금연을 중도 포기하는 이유로 꼽히고 있다.

이와 함께 금연클리닉에 대한 효과 및 평가, 홍보 미흡, 관련 예산 축소도 한 요인으로 거론되고 있다.

실제 질병관리청이 우리나라 성인의 금연 시도율(흡연자 중 최근 1년 동안 24시간 이상 금연을 시도한 분율) 집계를 시작된 2016년에는 57.7%에 달했지만 2023년에는 48.0%로 10% 가까이 감소했다.

김제시는 지역내 금연 환경 조성을 위해 올해 2억3500만 원의 예산을 들여 금연 클리닉 등록 권장 및 금연 상담, 공중이용시설 및 금연 구역 지도점검, 금연 사업 홍보 및 캠페인, 생애주기별 흡연 예방 교육, 찾아가는 건강실천 금연캠프 등을 운영하며 금연문화 확산에 힘쓰고 있다.

김제시 관계자는 "14개 보건지소 25개 보건 진료소를 연계해 '찾아가는 건강캠프' 등을 실시하는 등 금연대상자를 지속적으로 찾는 한편,  금연보조제 및 금연 동기유발 행동강화물품 제공, 금연클리닉 등록자에 대한 체계적인 상담 및 관리를 통해 금연문화 확산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김제=강현규 기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제시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지역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