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스마트도시 조성에 제동이 걸렸다. 중앙정부 투자심사 문턱을 넘지 못해서다.
21일 행정안전부 '2025년 제3차 지방재정 중앙투자심사' 결과를 보면 전주시 거점형 스마트도시 조성사업은 재검토 통보를 받았다. 행안부는 이번 심사에서 재검토 사유로 사업 구체성 부족 등을 지적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지난 6월 전주시는 국토교통부 스마트도시 조성사업 공모 결과 '거점형 스마트도시'로 선정된 바 있다. 이에 따라 전주시는 2025년부터 2027년까지 국비 160억 원을 포함해 도비 16억 원, 시비 144억 원, 민간투자 4억 원 등 총 324억 원을 투자할 예정이었다.
전주시가 선정된 거점형 스마트도시 조성사업은 스마트도시가 전국에 확산될 수 있도록 거점 기능을 하는 스마트서비스 종합 도시를 조성하는 내용이다. 이와 관련 전주시는 AI 시민건강케어와 AI 약자돌봄케어 등 스마트도시 9대 핵심 거점공간을 조성하고, 전주시 스마트 열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그러나 행안부는 이번 중앙투자심사에서 사업 계획의 구체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해당 사업비를 내년도 본예산에 반영하려던 전주시의 계획은 사실상 어려워졌다.
이와 관련 전주시는 스마트도시 조성사업의 실행계획을 수립·보완해 내년 초 재신청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예산 또한 내년도 추경에 편성할 계획이다.
전주시 관계자는 "거점형 스마트도시 조성사업에 15개 서비스가 포함돼 있다. 행안부에선 이들 서비스에 대한 세부 실행계획을 요구한 것으로 파악된다"며 "내년 2월까지 지자체 사업 실행계획을 수립해 국토부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와 연계해 내년 1월께 행안부 중앙투자심사를 재신청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전주 산업단지 청년문화센터 건립사업은 재신청 끝에 이번 중앙투자심사에서 조건부 통과했다. 산단 청년문화센터는 팔복동 휴비스 운동장 부지에 총 232억 원(국비 60억 원, 도비 8억 원, 시비 164억 원)을 투입해 지상 4층 규모로 건립할 예정이다. 이곳에는 VR·AR 스포츠센터, 공유 오피스, 공연장 등을 조성한다.
전주시 정원도시 조성사업도 조건부 승인을 받았다. 정원도시는 2025년부터 2029년까지 국비 100억 원, 시비 100억 원 등 총 200억원 을 들여 신규 정원 6곳, 기반시설 등을 조성하는 내용이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