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형 복지모델인 ‘전주함께라면’의 운영 사례를 배우려는 전국 지자체와 복지기관들의 전주 방문이 이어지고 있다.
23일 전주시에 따르면 ‘전주함께라면’ 사업이 입소문을 타면서 지난해 9월 계룡시의회의 방문을 시작으로 올해 8월까지 1년 동안 전국 지자체와 의회, 복지기관 등 총 40여 개 기관, 170여 명이현장을 방문해 벤치마킹했다.
‘전주함께라면’ 사업은 ‘누구나 놓고, 누구나 먹고 가는 공유공간’으로, 전주지역 사회복지관을 거점으로 복지위기에 놓인 가구를 촘촘하게 발굴·지원하는 전주형 복지사업이다. 이는 누구나 부담 없이 한 끼 식사를 이용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을 제공해 고립·은둔가구와 위기가구의 자발적 참여를 끌어내고, 복지상담을 통해 복지 신청 및 지원으로 이어지게 한 것이 특징이다.
방문 기관은 파주시청과 충주시의회, 부산 동구청, 광명시의회, 청주 북부종합사회복지관, 군산노인종합복지관 등 전국의 다양한 지방자치단체와 복지기관이 포함돼 있다.
이들 기관은 전주시로부터 현장 운영 사례와 사업 성과를 공유받고, 공간 조성 방식·운영 예산·자활근로자 참여 구조 등을 배웠다.
이를 토대로 지난 2월 익산시를 시작으로 광명시·파주시·충주시·부산 동구 등 총 5개 지자체가 ‘함께라면’ 모델을 도입해 자체 사업을 개시했으며, 현재 전주시를 다녀간 여러 지역에서도 도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에는 ‘전주함께라면’ 사업이 행정안전부의 무더위·한파 쉼터로도 주목을 받아 전북특별자치도 자연재난과에서 현장을 방문했으며, 한국보건사회연구원도 ‘전주함께라면’ 모델에 주목해 정책분석을 위한 담당자 면담을 진행한 바 있다.
전주시 관계자는 “앞으로도 전국 지자체와 적극적으로 경험을 공유해 전주형 복지모델인 ‘전주함께라면’이 전국으로 확산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