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보도자료

‘치맥하삼:례'축제 3만 명 즐겼다…완주형 문화관광 제시

완주군, 우석대 RIES사업단, 완주문화재단 협력…삼례문화예술촌서 성공 개최

image
완주군

삼례문화예술촌에서 열리는 ‘치맥하삼:례’ 축제가 완주형 새로운 문화관광형 축제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완주군은 지난 24일부터 이틀간 열린 올 축제에 3만여 명의 방문객이 찾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특히 전북도·완주군·우석대학교가 공동 주최하고, 완주문화재단∙완주DMO 주관으로 치르며  이 축제가 문화·산학 협력의 대표 사례로 평가받았다.

‘완주군은  이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치맥하삼:례’를 지역민이 주도하고 공공기관과 대학이 함께 만들어가는 완주형 문화관광 축제로, 지속 가능한 지역경제 순환과 문화관광 발전을 꾀할 계획이다.

행사장인 삼례에술촌은 근대 곡물창고가 문화예술 공간으로 재탄생한 전북의 대표 명품관광지로, ‘문화로 재생되는 지역, 예술로 성장하는 도시’라는 완주군의 비전을 상징하는 공간이다.

또 예술과 산업, 지역과 대학이 공존하는 삼례문화예술촌의 정체성을 살린 야간형 축제로, 완주의 문화관광 자원을 새로운 시각으로 재해석하며 ‘완주형 문화관광 모델’의 가능성을 보여줬다.

올 축제에서 공간 구성을 확장한 오픈형 야외무대를 중심으로 로컬푸드 부스, 청년 플리마켓, 라이브 공연 등 다채로운 콘텐츠를 선보였다. 

첫째 날에는 패밀리 레크리에이션과 지올팍·닐로·클레오 등의 콘서트, DJ 양반장의 EDM 파티가 열려 열기를 더했고, 둘째 날에는 버블쇼·마술쇼 등 가족형 공연과 우석대 밴드팀·KCM·마미손·DJ KARA의 무대가 축제의 피날레를 장식했다.

지역 소상공인과 청년 창업자들이 참여한 푸드존과 플리마켓이 운영돼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완주문화재단과 우석대학교가 공동 개발한 ‘흑곶감 막걸리’가 첫 공개돼 완주의 로컬 브랜드 협력 모델을 상징하는 대표 성과로 주목받았다.

유희태 완주군수는 “이번 축제는 완주군·우석대학교·완주문화재단이 함께 지역문제를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지역발전 모델을 만들어가는 의미 있는 협력의 결과”라며 “향후에도 군민과 지역대학, 문화기관이 참여하는 상생의 축제 플랫폼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완주가 문화와 사람이 머무는 도시로 성장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노준 우석대학교 총장은 “대학이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실천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번 축제는 의미가 크다”며 “지속적인 산학협력과 문화 교류를 통해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겠다”고 말했다. 

정철우 완주문화재단 상임이사는 “주민이 주체가 되는 완주형 축제를 통해 지역 자원을 문화적으로 재해석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 모델을 구축하겠다”며 “앞으로도 완주DMO와 긴밀히 협력하여 지역자원을 활용한 지속 가능한 완주형 축제모델을 만들어가겠다”고 다짐했다.

 

김원용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국회 초당적 협력 요청... “단결과 연대에 나라 운명 달려”

국회·정당인공태양(핵융합)이 뭐길래..." 에너지 패권의 핵심”

국회·정당“제2중앙경찰학교 부지 남원으로”

정치일반전북도청은 국·과장부터 AI로 일한다…‘생성형 행정혁신’ 첫 발

정치일반전북 ‘차세대 동물의약품 특구’ 후보 선정…동물헬스케어 산업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