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안군 하서면∼변산면 9㎞구간이 기획예산처의 잘못된 교통량조사로 4차선 확포장공사에서 제외됨에 따라 교통흐름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는 등 지역발전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이도로는 국도30호선으로 부안∼격포까지 총 32㎞중 중간지점에 위치하고 있지만 조사시기의 적정성 등을 고려치 않은 당국의 조사는 그 피해를 해당 자치단체 및 관광객들에게 떠넘기고 있다.
14일 부안군 및 지역민들에 따르면 국도30호선인 부안∼격포도로는 2차선도로로 지난해 서해안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올여름 휴가시즌이 절정에 이르면서 이일대를 지나는 차량은 1일 평균 2만5천여대에 달하고 있다.
그러나 기획예산처는 지난해 5월께 한양대학교와 평화엔지니어링에 이도로의 차량통행에 대한 교통량조사 용역을 의뢰, 하서∼변산구간의 5개월간 차량소통은 1일평균 7천5백대로 조사됐다.
이는 차량소통이 가장 적은 지난해 상반기 조사이며 하반기 서해안고속도로 개통 및 새만금방조제의 재개발등으로 관광객이 증가하면서 국도30호선을 통과하는 차량이 기존 통행량의 3배를 훨씬 웃돌고 있다는 군의 조사와는 상당한 대조를 보이고 있는 것.
이에 따라 이구간은 예비 타당성조사에서 경제성이 미흡한 도로로 판명됨으로써 예산확보의 어려움과 함께 4차선확포장공사에서 제외되는 등 쓸모없는 도로로 전락, 병목현상 및 지역 불균형을 초래하는 등 탁상행정의 표본이라는 비난과 함께 해당 자치단체 및 지역민들의 강한 반발을 사고 있는 것.
주민들은 “이도로는 동일노선으로 처음과 마지막 구간은 타당성조사에서 적합 판정을 받아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데 중간부분부인 하서에서 변산까지 9㎞구간은 사업 유보판정을 내린 것은 있을수 없는 처사”라면서 “누락구간의 4차선 확포장공사를 위해서는 관계당국의 재조사가 조속히 이뤄져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한편 국도30호선인 부안∼격포도로는 당국이 지난 1997년 총사업비 1천8백70억여원을 투입, 부안∼하서구간 14㎞와 변산∼격포구간 9㎞를 구간별로 4차선 확포장공사를 분리 발주해 현재 공사진척률은 각각 29%와 68%를 보이고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