郡, 농공 기본설계 권고 무시
임실읍 이도리 일대에 조성중인 임실농공단지가 기본설계를 완전히 무시한 부실투성이 행정으로 밝혀졌다.
이 때문에 전체 94억원의 사업비중 35억원을 예상했던 공사비가 65억원으로 늘어날 전망이어서 대책이 시급하다.
더욱이 관련 사업 담당은 기술직 공무원의 배치가 중요한데도 행정직으로 일관, 부실공사를 부추겼다는 지적이다.
지난 2002년에 추진된 임실농공단지는 임실읍 이도리 일대에 14만7000㎡ 규모로 사업계획이 확정됐다.
사업비도 국비와 도비 등 33억3600만원이 지원됐고 군비는 45억5500만원과 지방채 16억원을 발행, 모두 94억9100만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지난 2005년에는 현 부지로 대상지가 확정, 농공단지 기반조성을 위한 착공에 들어간 것.
하지만 공사장에서 발생된 사토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대규모 암반층이 표출, 2007년 말에는 공사가 전면 중단됐다.
풍화암과 강암 등이 발생된 암반층은 줄잡아 전체 부지의 20% 수준으로, 발파비용을 감안하면 최소 30억원의 공사비가 추가로 요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임실군은 최근 일부 암반층을 현 상태로 놔두고 농공단지 규모를 축소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지만 논란이 일고 있다.
이는 당초 사업목적의 취지에 어긋난데다 볼썽 사나운 암반층을 방치할 경우 두고두고 지탄의 대상으로 몰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임실농공단지가 부실공사로 전락한 것은 기본설계를 제시한 농촌공사를 무시, 군이 실시설계를 통해 현 상태를 강행했기 때문으로 밝혀졌다.
농촌공사 전북본부는 당시 보고서를 통해 "기본설계를 바꿀 경우 대규모 암반층 발생으로 공사비와 공기가 크게 늘어날 것"을 전달했다고 주장했다.
반면 임실군은"당초 농촌공사가 지질조사도 하지 않고 기본설계를 마쳤기 때문"이라며"적법절차를 거쳐 손해배상을 청구할 계획"이라고 맞서고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