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김제농업기술센터
김제 벽골제(사적 제111호)의 가치를 규명하기 위한 학술 포럼이 29일 김제농업기술센터에서 개최된다.
1700여년의 역사가 고스란히 쌓여있는 벽골제는 330년(백제 비류왕 27년)에 국가 주도로 축조된 새만금 방조제에 버금가는 대규모 국책 토목사업으로, 이후 통일신라와 고려·조선시대를 거쳐 여러번 증·개축이 이뤄졌다.
이에따라 벽골제는 최초 축조된 백제시대 이후 수 차례의 증·개축을 통해 천년 이상의 역사가 축적돼 그 당시 기술과 문화를 알 수 있는 귀중한 문화유산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지난 1975년 충남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단 한 차례 장생거와 경장거 수문 주변의 발굴조사가 이뤄졌을 뿐 다른 부분에 관한 조사는 현재까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번 학술포럼은 (재)전북문화재연구원(이사장 최완규)가 주관, '벽골제 성격 규명 및 활용을 위한 새로운 모색'이란 주제로 열리며, 최완규 이사장이'전북지역 고대문화에 있어서 벽골제의 의미', 나종우(원광대)교수가 '역사적으로 본 벽골제와 그 변천', 성정용(충북대)교수가 '벽골제 조사의 향후 과제'란 주제로 발표에 나서고, 조현종(국립광주박물관)관장 등 5명의 전문가들이 나서 열띤 토론을 펼친다.
김제시 관계자는"이번 포럼을 통해 벽골제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 하기 위한 학술적 근거 및 벽골제 발굴 조사의 필요성 및 추진방향을 구체화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