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일 군수 "군민혜택 비용 완주군이 부담" / 손실보전 용역 공동 발주·용역비 분담 한뜻 / 시의회 22일 동의안 심의
속보= 전주·완주 시내버스 단일요금제 재시행 여부 결정이 사실상 전주시의회의 몫으로 넘겨지면서 의원들의 판단에 촉각이 쏠리고 있다. (21일자 7면 보도)
전주시의회 도시건설위원회는 22일 집행부에서 상정한 ‘전주·완주 시내버스 요금단일화 추진 동의안’을 심의할 예정이다.
이런 가운데 박성일 완주군수가 21일 전주시의회를 찾아 전주·완주 시내버스 요금단일화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협조를 적극 요청해 눈길을 끌었다.
박 군수는 이날 김명지 부의장과 김윤철 도시건설위원장을 비롯한 각 상임위원장들이 참석한 간담회에서 “완주와 전주의 상생발전을 위해 협력사업을 확대해야 한다”면서 “우선 빈번하게 교류하고 있는 양 지역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대승적 차원에서 버스요금 단일화에 협조해 달라”고 말했다.
박 군수는 특히 “버스요금 단일화와 관련, 예전처럼 전주시가 완주군민들을 위해 예산을 부담한다는 시민들의 오해가 있다”면서 “완주군민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부분은 완주군 예산, 그리고 전주시민이 이용하는 부분은 시에서 비용을 부담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용역을 통해 승객 현황을 조사, 전주시민 및 완주군민의 버스 이용 비율에 따라 단일요금제에 따른 손실보전 비용을 나누겠다는 설명이다.
그는 이어 “버스요금 단일화와 행정구역 통합 문제는 결부시지키 않았으면 한다”면서 “완주군민만을 위한 요금단일화가 아닌 만큼 시에서 추진하지 않겠다면 군민들만을 위해 별도로 추진할 의향도 있다”고 밝혔다. 완주군의회에서는 단일요금제 시행에 적극 찬성하고 있다는 게 박 군수의 설명이다.
박 군수와 시의원들은 이날 버스요금 단일화가 성사될 경우 손실보전을 위한 용역은 시·군이 공동 발주하고, 용역비도 분담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함께했다.
전주시와 완주군은 시의회에서 해당 동의안이 가결되면, 노선개편 확약을 포함한 ‘시내버스 요금단일화 협약’을 체결한 후 11월 중에 시내버스 단일요금제를 전면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전주시와 완주군이 부담해야 할 사업비는 연간 약 32억원으로 추산됐다.
한편 이들 시·군은 지난 2009년과 2013년 두 차례에 걸쳐 양 지역을 오가는 버스의 단일요금 체계를 완주군 전 지역으로 확대 운영했으나 지난해 6월 행정구역 통합이 무산되면서 같은 해 9월부터 이를 전면 중단했다.
이후 민선 6기 출범과 함께 양 시·군은 수차례 논의를 거쳐 단일요금을 적용하기로 의견을 모았고, 전주시는 21일 개회한 시의회 제314회 임시회에 ‘전주·완주 시내버스 요금단일화 추진 동의안’을 상정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