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초 WHO 기본계획 용역…민선 6기내 인증 추진
전주시가 ‘WHO(세계보건기구) 국제안전도시’ 공인을 추진한다.
WHO 국제안전도시는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자발적·체계적 참여를 통해 각종 사고와 신체적·정신적 손상을 줄이고 안전을 위해 능동적으로 노력하는 도시를 말한다.
스웨덴 스톡홀름에 위치한 WHO 지역사회안전증진협력센터에서 현지실사 등 엄격한 심사절차를 거쳐 인증하고, 매 5년마다 재공인 절차를 거친다.
전주시는 내년 초 ‘WHO 국제안전도시 기본계획 연구용역’을 추진하기로 하고 내년 예산안에 관련 사업비를 반영했다고 10일 밝혔다. 시는 또 용역 착수에 앞서 지난주 국내 국제안전도시 공인센터인 아주대 지역사회안전증진연구소를 찾아 용역 등 관련 절차를 협의했다.
전주시는 국제안전도시 인증을 받기 위해 우선 내년에 기본계획 연구용역을 시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인증 조건으로 제시된 사업들을 1~2년 가량 추진한 후 공인을 정식 신청할 계획이다. 김승수 시장의 공약 사업인 만큼, 관련 절차를 거쳐 민선 6기 내에 WHO 인증을 받겠다는 게 전주시 관계자의 설명이다.
국제안전도시로 공인을 받기 위해서는 △지역공동체 협력 기반(네트워크) 구축 △모든 연령·상황을 포함하는 장기적 지속가능 프로그램 구축 △고위험 집단과 환경을 대상으로 하는 안전 증진 프로그램 △손상 빈도와 원인을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 △각 프로그램의 진행과정 및 변화결과에 대한 평가 체계 △국내외 안전도시 네트워크 지속적인 참여 등의 조건을 갖춰야 한다.
국내에서는 수원시가 지난 2002년 최초로 인증을 받았고, 이후 제주특별자치도, 서울 송파구, 원주시, 천안시, 부산시, 창원시 등 모두 10개 도시가 WHO 국제안전도시로 공인됐다.
특히 올해는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안전에 대한 시민의식이 높아지면서 지난 6·4 지방선거 과정에서 김승수 전주시장을 비롯한 상당수 단체장들이 재임기간 국제안전도시 공인을 받겠다는 공약을 내놓았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