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정유재란 남원성 전투서 420명 전사 확인

남원문화원, 박현규 순천향대 교수 초청 강연
일본 고야산 공양비에 기록돼

임진·정유재란 때 일본 수군의 장수로 출전했던 시마즈 요시히로가 임진·유년 왜란에 전몰한 적군과 아군의 영혼을 위로하는 일본 고야산에 세운 고려진적미방전사자공양비에 남원성 전투에서 420명을 죽였다는 기록이 나왔다.

남원문화원(원장 김주완)이 지난 20일 남원향토대학 7번째 강사로 초빙한 순천향대학교 박현규 교수는 “정유재란 421주년을 맞아 일본 고야산에 남원성 전투에서 당시 북문을 담당했던 왜군 시마즈 요시히로와 그의 아들 타다츠네가 정유재란이 끝나고 일본으로 돌아간 후 1599년(선조 32) 6월에 적군과 아군의 전사자들을 위로하는 공양비를 세웠는데 비에는 이같은 기록이 남아있다”고 발표했다.

고려진적미방전사자공양비라는 비명과 함께 좌우로 비를 세운 내용을 기록됐는데 내용을 보면 ‘경장 2년(1597) 8월 15일에 전라도 남원에서 대명 군사 수천 명을 토포하는 가운데 자신이 420명을 죽였다. 동년 10월 그믐에 경상도 사천에서 대명인 8만여 명을 공격해 죽였다. 고려국 진지에서 싸우다 죽은 적과 아군의 군사들이 모두 불도에 들어가기를 바란다. 위 전장에서 아군 사졸이 화살, 칼, 몽둥이에 죽은 자가 3000여 명이고, 바다와 육지에서 횡사하거나 병사한 무리가 모두 기술하기가 어렵다’고 적시돼 있다.

 

또 시마즈 요시히로의 가신 마스모토아베가 남원성 전투를 기술한 도진가고려군비록에 남원성을 함락하는 과정에서 살육장면을 기술했는데 이는 ‘8월 15일 밤, 화살과 조총을 쏘아대며 창과 장도로 성문을 돌격할 때 갑자기 성이 점령되자 적 500 명이 도망쳤다. 살마군사가 달려가 420여 명을 죽였고, 적 1명이 나무를 타고 올라가는 것을 병고 대장이 조총으로 쏘아 죽였다’고 써 있다.

특히 이번 발표한 내용에서 남원성 전투에서 순절한 조명군의 숫자가 확인되지 않았는데 조선물어 등 고문서 자료에 나타난 것을 보면 남문에서 1001명, 서문 1034명, 동문 740명, 북문 951명 등 3735명이 전사한 것으로 확인됐다.

박현규 교수는 “이 비는 정유재란 때 죽은 적과 아군 전사자의 영혼을 공양하기 위하여 세웠는데 공양 대상자를 크게 3부류로 나누어 첫째는 1597년 8월 15일 남원성 전투에서 살육한 420명, 둘째 같은 해 10월 사천전투에서 살육한 명군 8만여 명, 셋째 정유재란 때 시마즈 요시히로의 휘하의 전사자 3000여 명”이라고 말했다.

신기철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금융·증권미 증시 덮친 'AI 거품' 공포…한국·일본 증시에도 옮겨붙어

문화일반세대와 기록이 잇는 마을…부안 상서면 ‘우덕문화축제’ 7일 개최

법원·검찰장애인 속여 배달 노예로 만든 20대 남녀⋯항소심서도 ‘실형’

익산10월 익산 소비 촉진 정책 ‘통했다’

정치일반김도영 교수,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위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