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바이오 헬스케어 혁신파크 조성 기본계획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도심 저활용 부지 활용…대학 · 병원 · 연구소 원스톱 지원 의견 제시
전주시가 추진하는 ‘바이오 헬스케어 혁신파크 조성사업’의 청사진이 나왔다. 시민들에게 최첨단 의료 혜택을 지원하고 청년들에게 풍부한 의료 일자리를 제공한다는 구상에 따라 추진한 사업이다.
시는 13일 전북대학교 진수당 3층 회의실에서 김승수 전주시장과 김동원 전북대 총장, 권대규 전북대 창업지원단장 등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전주형 바이오 헬스케어 혁신파크 조성 기본계획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전북대 창업지원단이 지난 5월부터 추진해온 연구용역 결과물을 토대로 전주가 진행할 바이오 헬스케어 도시의 비전과 전략이 구체화 됐다.
바이오 헬스케어 도시의 비전은 ‘2030 헬스케어 스타트업-벤처 허브 전주’로 제시됐다. 권대규 단장은 ‘바이오 헬스케어 창업 허브 클러스터 조성’을 목표로 삼아 산·학·연·병 연계를 통한 최적의 바이오 헬스케어 생태계로 나아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헬스케어 소재·기기, 의료정보 빅데이터 서비스, 바이오 식의약 등의 분야별 하위목표로 수립하고, 전국 최대의 헬스케어 창업 허브 도약을 위한 6개 추진전략도 제시했다. 6개 추진전략은 △헬스케어 선진 인프라 구축 △헬스케어 전문인력 양성 및 우수인력 유치 △헬스케어 테크 투자 촉진 △글로벌 성장 촉진 기반 마련 △기업·대학·병원·연구소 네트워크 활성화 △헬스케어 체감형 도시 보급 사업 등이다.
이번 용역 결과, 바이오 헬스케어 혁신파크 조성사업의 총예산 규모는 약 5000억 원으로 예상됐으며, 기대효과로는 헬스케어 벤처 창업 및 기업 유치 300개 사, 일자리 창출 1만 개에 이를 것으로 예측됐다.
이와 함께 시가 보유하고 있는 실내체육관, 종합경기장, 구 법원 등 도심 저활용 부지를 활용해 창업의 전 과정을 관리하는 헬스케어 랩센트럴(Lab Central)과 개방형 창업아지트를 조성하는 한편, 대학과 병원, 연구소의 시설과 기술을 연계한 기술창업의 전 과정을 원스톱으로 지원하자는 의견도 제시됐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용역 결과를 토대로 전주시와 지역대학, 민간기업, 연구기관, 병원까지 연계한 최적의 첨단 바이오 헬스 혁신파크를 구축할 계획”이라며 “그간 축적해온 대학과 연구기관의 성과를 집적하고 관련 인력을 양성해 대한민국에서 가장 주목받는 바이오 헬스케어 도시로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