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건축위, 하가구역 재개발 정비사업 심의
사업시행계획인가 전 건축심의 조건부 통과
전주 하가지구 재개발 사업에 속도가 붙을지 주목된다. 과거 시공사 부도로 좌초 위기를 겪었고, 정비사업자 선정을 둘러싼 내홍까지 있었지만, 15년여 만에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는 평가다.
특히 차기 전주시장 후보들 다수가 전주 재개발 등에 대한 속도 높은 추진을 제시한 만큼 하가지구 재개발을 포함한 재개발∙재건축 사업이 속도를 낼지도 기대된다.
지난달 30일 전주시 건축위원회는 '하가 구역 재개발 정비 사업 심의' 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는 사업시행 계획 인가에 앞서 건축심의를 위한 자리였다. 전주시에 따르면 이날 심의위원들은 조합 측에서 제시한 건축 계획에 대해 조건부 의결했다. 구체적인 조건은 정리 중이라는 것이 전주시의 설명이다.
조합이 심의위원들이 제시한 조건을 충족할 경우 다음 단계인 사업시행계획 인가로 넘어가게 된다. 조합은 전주시에 전주시 덕진동 2가 일대 11만3156㎡에 지하 3층 지상 17층 규모로 아파트 28개 동 1828세대와 부대 복리시설을 건립하는 사업시행 인가를 신청할 것으로 알려졌다.
하가지구 재개발은 지난 2006년 전주시로부터 예비정비구역으로 지정받으면서 본격 추진된 사업이다. 원광대 한방병원 인근을 중심으로 총 1838세대의 아파트 건립을 위해 수도권의 신성과 남광토건을 예비 시공사로 선정하고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해 왔다. 그러나 지난 2012년 남광토건이 자금난을 이기지 못하고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하가지구 재개발 사업에서 발을 빼자 사업은 답보상태에 빠졌다.
자칫 사업이 좌초될 상황이었지만 시공사와 함께 선정됐던 정비업체가 사업 초기 단계부터 자금을 투입해 조합운영과 용역 등을 추진해 왔으며 당초 12층이었던 층고제한도 풀려 17층까지 건축이 가능해지면서 대단위 사업이 가능해졌고, 지난해 5월 시공사로 현대건설이 선정되면서 원활한 사업 추진을 기대하게 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