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도·농 상생형 로컬JOB센터 통합워크숍’이 지난 13일과 14일 이틀간 무주나봄리조트에서 개최됐다.
도·농 상생형 로컬JOB센터의 그간 성과와 지역 간 일자리 정보를 공유하고 실무자들의 업무능력 향상을 주도해 전문성을 확보한다는 취지에서다.
이날 워크숍에는 무주군을 비롯한 장수군과 완주군, 고창군 등 4개 지역 로컬JOB센터 직원들과 각 지자체 담당자, 고용노동부 전주지청, 전라북도청, 전북인적자원개발위원회 관계자 등 도내 일자리업무 관계자 등 50여 명이 함께 했다.
이 자리에서 황인홍 군수는 “혼자서는 절대로 갈 수 없는 길이 바로 여러분이 가는 길 아닐까 한다”며 “이 시간이 지역을 달리하며 같은 일을 하고 있는 서로의 경험과 노하우를 나누는 기회이자 각 지역의 발전, 주민 행복, 더 나아가 전라북도 전체에 활기를 불어넣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무주군 로컬JOB센터에 따르면 워크숍 첫 날인 13일에는 센터별 사업성과 발표를 시작으로 지역 센터별 중장기 발전방향 모색을 위한 토론, 직원역량강화 교육 등이 진행됐으며 14일에는 참석자들이 단합과 재충전을 위해 무주군 대표 관광지 중 한 곳인 반디랜드를 방문했다.
또 같은 날 전북과 경북지역에서 추진하고 있는 도·농 상생형 농촌일자리 사업성과 제고와 지역 간 일자리 정보 교류를 위한 “2022년 도·농상생형 일자리프로젝트 유관기관 통합간담회”도 열렸다.
도·농 상생형 농촌일자리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무주를 찾은 이인수 씨(경북 참여자)는 “전북과 경북뿐만이 전국적으로 고민하고 있는 농촌일자리에 대하여 서로 정보를 공유하고 의견을 나누는 뜻깊은 시간이라 기대된다”며 “올해 처음 시행한 도·농 상생형 농촌일자리 지원 사업을 바탕으로 차기년도 사업의 추진방향과 계획을 제대로 수립해 농민들의 일손걱정을 덜어드릴 수 있도록 전북과 경북이 다각도로 협력해 나가면 좋겠다”고 밝혔다.
올해 처음 시행한 도·농 상생형 농촌일자리 지원 사업은 농번기 일손이 부족한 농민들을 위해 도시지역 인력을 농촌으로 연계하는 사업으로, 무주군 로컬JOB센터(센터장 김선태)에서는 지난 4월 말부터 현재까지 4300여 건 이상의 연계 실적을 거뒀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