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20년부터 도내 곳곳에 세금으로 조성된 스마트 가든이 조성 이후 무관심 속 방치 우려가 나오고 있다.
15일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산림청 공모사업으로 국비를 일부 지원받아 지난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 간 도내 공공시설과 산업단지, 의료기관 등에 스마트 가든 120곳이 조성됐다.
사업 첫 해인 2020년 도는 시·군을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통해 전주와 정읍, 진안, 장수 등 지역 48곳을 대상으로 설치를 시작했으며 여기에 14억 4000만 원이 투입됐다.
스마트 가든 설치사업은 실내 벽면과 화단 등에 공기정화 기능이 우수한 식물을 심고 기를 수 있는 녹화공간을 마련하는 것으로 미세먼지 저감과 실내환경 개선을 위해 산림청 공모를 통해 전국 지자체에서 진행하고 있다.
개소당 설치 비용으로는 3000~5000만 원의 적지 않은 예산이 투입되는데, 국비 50%와 지방비 50%를 들여 지자체에서 설치하면 설치된 각 수요기관별로 자체 관리하고 있다. 자동화 관수와 생장 조명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이와 관련 지난해에는 산림청이 전국에 50억 원 규모로 296곳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전북에 국비 3억 9500만 원을 배정, 지방비를 더해 총 7억 9000만 원으로 25곳을 추가 조성했다.
이 사업을 통해 4년간 전북지역 120곳에 스마트 가든을 설치하는 비용으로 36억 5000만 원이 쓰인 셈이다.
이같은 예산 투입으로 마련된 공간인 만큼 설치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식물의 생장 등에 문제가 없도록 수요기관과 지자체의 지속적인 유지 관리 노력이 요구된다.
사업의 효과 지표가 되는 시민 반응 등을 이끌어내려면 시민들이 실내환경을 더욱 쾌적하게 체감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이야기다.
더욱이 지난 2021년 전주지역 공공기관 22곳, 산업단지 12곳, 의료기관 3곳 등 총 37곳에 설치된 스마트 가든을 현재도 찾아볼 수 있는데 일부 스마트 가든 지역에는 물공급이나 화분 등 식물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고사하는 등 관리 부실 문제가 수시로 드러나고 있다.
이와 관련, 시가 올해도 지속 추진하는 '생활밀착형 정원패키지 사업'과 연계해 정원문화를 활성화하는 데 역할을 다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시는 정원도시 인프라를 확충하기 위해 오는 9월 완공을 목표로 도도동 항공대 인근 2만 5600㎡의 부지에 정원식물지원센터를 조성하고 있다. 더불어 옛 호동골 양묘장 일원에서는 오는 2025년까지 전주지방정원 조성을 추진 중이다.
이와 관련해 시 관계자는 "현재 전주에 정원식물지원센터를 착공한 만큼 기존에 설치된 스마트 가든 등 실내정원을 지속적으로 확충해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설치된 기관에 대해 관리 부분도 지속적으로 강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